대구지하철참사 10주기… 그날의 상처는 아직도 아물지 않고 있다

입력 2013-02-18 09:29


2·18 대구지하철참사의 상처가 10주기를 맞아서도 아물지 않고 있다. 대구시가 공익재단 설립 등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시와 유족, 유족 간 갈등의 골이 깊어 화합의 길은 멀기만 하다.

17일 대구시에 따르면 김범일 대구시장은 지난 15일 그동안 유족 간 합의를 기다리며 지켜보던 공익재단 설립에 대해 “시가 적극 의견을 수렴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유족들로부터 참사 수습에 무관심하다는 비난을 들었던 시가 화해의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하지만 갈등의 원인은 여전히 그대로다. 유가족과 부상자들에게 지급하고 남은 성금 110억원으로 추진하기로 한 공익재단 설립은 아직 시작조차 못했다. 유족들이 요구하고 있는 추모공원과 위령탑 조성도 유족 간, 시와 유족 간 갈등으로 갈피를 못 잡고 있다. 김 시장이 지난 7년간 추모식에 한번도 참석하지 않은 것도 유족들에게 앙금으로 남아 있다.

이 때문에 유족과 부상자들은 김 시장을 불신하고 있다. 대구지하철참사 희생자대책위원회 윤석기(49) 회장은 “시가 진정 희생자들을 위로하려면 유족들에게 한 약속을 지켜야 하는데 하나도 지킨 것이 없다”고 말했다.

부상자가족대책위원회 이동우(69) 회장은 “시가 이제 부상자들에게 관심을 가져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긴 했지만 실제 부상자들을 위한 대책이 나올 때까지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피해자단체 간 반목도 여전하다. 참사 비상대책위와 부상자가족대책위는 희생자대책위에 대해 “자격이 없는 사람이 일을 맡고 있다”며 등을 돌렸다. 희생자대책위도 음해라고 주장하며 상대 단체를 무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18일 10주기 추모식은 따로 열리게 됐다. 희생자대책위는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나머지 두 단체는 경북대 글로벌프라자에서 추모식을 연다. 김 시장은 10주기 당일 희생자대책위 등 참사 추모위원회가 중앙로역에 설치한 추모대에 헌화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번에도 추모식에는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글·사진 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