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조각 마무리] 성장동력은 미래부… 복지공약은 실세장관이 맡아

입력 2013-02-17 22:45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3차 인선을 통해 보여준 내각 운영 구상은 크게 두 가지다. 경제부처 중 미래창조과학부를 키워 성장 동력 창출에 주력하고, 보건복지부에 힘을 실어 복지공약을 확실히 챙기겠다는 것이다.

◇경제부총리보다 더 눈길 가는 미래부 장관=정치권과 관가에서는 경제위기 돌파와 경제민주화란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막강한 경제부총리 후보군이 거론됐다. 장고 끝에 낙점된 현오석 한국개발원(KDI) 원장은 당초 기대에 비해 중량감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오히려 경제부처 중에선 김종훈 미래부 후보자에게 더 많은 시선이 쏠렸다. 당선인 측근은 “미국 국적자를 장관으로 모셔오기까지 집요한 설득 과정이 있던 것으로 안다”며 “김 후보자는 미국 벤처 분야에서 실질적 성공을 이룬 분으로 국내에서도 성공 사례를 보여 달라는 뜻”이라고 말했다. 박 당선인이 새로운 성장 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 수장을 찾는 데 그만큼 공을 들였다는 것이다. 인선 발표 전부터 업계에서는 박 당선인이 김 후보자를 영입하려고 애쓴다는 소문이 돌았다고 한다.

◇복지공약 책임질 실세 장관=박 당선인은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진영 인수위 부위원장을 발탁하며 복지공약 재원 논란을 다시 한번 일축했다. 진 후보자는 새누리당 정책위의장과 인수위를 거치며 공약을 총괄해 왔지만 복지 분야 전문가는 아니어서 다소 의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게다가 18대 국회에서 국회의원의 장관 겸직 금지 법안을 발의했을 만큼 의원의 장관 겸직에 부정적이고, 각종 하마평에 오를 때도 “국회에 남을 것”이라고 말해 왔다.

그런데도 그를 택한 것은 ‘힘 있는 실세 복지장관’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기초연금 등 공약 재원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복지공약을 끝까지 밀어붙이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진 후보자도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대선 공약에 복지공약이 많은데, 충분히 예산을 거듭 계산해 보고 우리가 약속한 범위 내에서 집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 부분만 공약했다”고 강조했다. 진 의원은 의원직도 일단 유지할 뜻을 밝혔다.

노동계 현안이 산적한 고용노동부 장관에 방하남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지명되자 서울대 이철수 교수는 “박 당선인이 일단 ‘고용’에 방점을 두고 인선한 것 같다. 노사관계 부분은 정부가 주도하기보다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풀어가겠다는 뜻으로 읽힌다”고 했다.

◇해수부 장관에 여성 발탁=이번 내각에 발탁된 여성은 2명이다.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어떤 식으로든 기용이 예상됐지만 해양수산부를 맡긴 윤진숙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본부장은 아무도 예상치 못했다. 인수위 주변에서조차 “여자냐, 남자냐”란 질문이 나올 정도로 지명도가 낮다. 한 측근은 “윤 후보자는 해양 분야의 몇 안 되는 여성 인재로 박 당선인이 강조했던 여성 인재의 발굴과 양성이란 의미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