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조각 마무리-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현오석] ‘확장 기조’ 정책 반영 여부 주목

입력 2013-02-17 22:42

현오석 후보자는 17일 기자회견을 통해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을 통해 중산층을 복원하고 국민행복시대를 여는 밑거름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어려운 상황에서 막중한 책무를 맡게 돼 어느 때보다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여러 부처 국무위원들과 같이 고민하고 더 나아가 국민들과의 조정 과정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경제부처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현 후보자는 경제기획원(EPB) 출신으로 경제기획국에서 잔뼈가 굵은 거시경제 전문가다. 경제기획국은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 시절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담당했던 핵심 부서다. ‘아버지(박정희)의 경제개발을 입안했던 말단 실무자가 딸(박근혜)의 경제 사령탑이 됐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그가 원장으로 있는 한국개발연구원(KDI) 또한 박 대통령 시절인 1971년에 설립됐다.

그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받을 정도로 학구열이 뛰어났다. 1980년대 말 세계은행 이코노미스트로 일한 덕에 국제 감각도 돋보인다. 재정경제부(기획재정부의 전신)의 국고국장을 마지막으로 거시경제 총괄 부처를 떠난 지 14년 만에 정책 현장에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와 함께 일했던 관료들은 “합리적이고 온화한 스타일이면서 일을 할 때는 매우 신중했다”고 회상했다.

다만 KDI 원장으로 있으면서 4대강 사업 등 정부 정책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KDI는 지난해 발표한 ‘이명박 정부 출범 4년 평가보고서’에서 최근 감사원이 부실이라고 평가한 4대강 사업을 대표적인 성과로 꼽았다. 한·미 FTA 발효 당시에도 향후 10년간 국내총생산이 5.6% 추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아 지나치게 낙관적인 평가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 때문에 경제부총리로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현 후보자가 경제부총리에 지명되면서 KDI에서 주장해 온 확장 기조가 경제정책에 반영될지도 관심사다. 지난해 11월 말 KDI는 보고서에서 정부가 재정투입을 늘리고 기준금리를 내려 경기침체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KDI의 조언은 현 정부의 재정 건전성 기조와 상반된 국책기관의 주장으로 주목받았다. 경기 대응이나 복지공약 이행에 필요한 재원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박근혜 당선인이 향후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확장 재정을 펼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이런 분석에 힘을 실어준다.

세종=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