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추가 도발 징후] “이란 과학자, 북 핵실험 참관한 듯”

입력 2013-02-15 19:24

미국 행정부는 물론 의회까지 가세해 북핵 확산 우려와 이에 대한 대책안을 봇물처럼 쏟아내는 가운데 이란 과학자들이 지난 12일 북한 핵실험을 직접 참관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되면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북한과 이란 정책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란은 또 핵무기 개발을 위해 원심분리기에 필요한 특수 자석을 중국 기업을 통해 조달을 시도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AFP통신을 인용해 15일 보도했다. 이란이 중국을 핵무기 개발을 위한 경유지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교도통신이 14일(현지시간) 워싱턴의 한 서방 외교관을 인용한 바에 따르면 이란은 지난해 11월 핵실험을 현장에서 지켜보겠다는 의향을 북한에 타진하면서 그 대가로 수천만 달러를 중국 위안화로 지급하겠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이란은 북한의 이번 핵실험을 “앞으로 자체 지하 핵실험을 시행하기 위한 기술을 곧바로 획득할 중요한 기회”로 간주했다. 이 소식통은 북한과 이란의 핵개발 계획이 유사한 사실에 주목하면서 “이란이 실제로 핵실험 자료를 입수하면 상황이 심각해진다”고 경고했다. 북한과 이란은 무기급 우라늄 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우라늄 농축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SCMP는 미국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보고서를 인용, 한 이란 회사가 링 형태로 된 자석 10만개를 획득하기 위해 중국의 상업 웹사이트를 활용했다고 전했다. 이 품목은 2011년 말 채택된 유엔 제재에 따라 수입이 금지돼 있다.

보고서는 이란이 우라늄 농축에 사용하는 1세대 원심분리기 5만개당 특수 자석 두 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란의 이러한 움직임은 1세대 원심분리기 수를 대폭 늘리려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어 이 거래에 관련된 모든 중국 기업에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이란 측이 문제의 자석을 공급하겠다는 중국 업체를 확보했는지는 알 수가 없다고 밝혔다. 미 백악관은 이러한 보고서에 대해 명시적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으나 “이란이 유엔 제재를 비켜가기 위해 적극적으로 애쓰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