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기업도시, 첫삽도 못뜬채 사업 포기

입력 2013-02-14 20:39


참여정부 시절 국토 균형발전과 외자 유치 활성화 명목으로 시작된 기업도시 사업이 흔들리고 있다. 6개 기업도시 중 두 곳이 사업을 접었고 충주를 제외한 다른 기업 도시들의 공사진행도 더딘 상황이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14일 “오는 20일까지 전남 무안 산업교역형 기업도시의 도시개발위원회 서면심의를 마치고 22일자로 구역지정을 해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첫 삽도 못 뜬 채 기업도시 지구지정이 해제된 것은 2011년 초 전북 무주 기업도시에 이어 무안이 두 번째다.

2005년 7월 무안읍과 무안국제공항 인접지역에 206만㎡ 규모의 산업교역형 기업도시 조성 계획이 발표됐을 때만해도 장밋빛 전망이 무성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위기와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사업은 지지부진해졌고, 중국 측이 51%를 소유한 시행자인 한중미래도시개발이 지난해 초 투자를 철회하면서 휘청거렸다. 전남도와 무안군 등은 대체 투자기업 물색에 나섰지만 사업 의향을 밝힌 투자자와 사업조건 등에서 이견을 보이면서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무안 등 지지부진한 기업도시를 살리기 위해 기업도시의 최소 면적을 50%까지 축소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발이익 재투자율을 낮추는 등 대책을 내놨지만 역부족이었다. 특히 기업 도시 선정 이후 땅값이 치솟아 토지거래 제한 지역으로 묶여 지역민의 손해가 컸던 것도 지구지정 해제에 영향을 미쳤다. 전체 기업도시 6곳 가운데 전북 무주와 전남 무안 등 2곳의 지구지정이 해제되면서 현재 사업이 진행중인 곳은 충주·원주·태안·영암해남 기업도시 등 4곳으로 줄었다.

충주는 부지조성 공사 뒤 토지의 70%가량 분양을 마쳤고, 원주는 벽산건설과 경남기업 워크아웃으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다가 최근 롯데건설이 1500억원을 투자하면서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그동안 사업추진이 지지부진했던 영암해남 기업도시는 지난달 구성지구의 착공이 시작되며 일단 물꼬를 텄다는 평이다. 그러나 국내외 경기침체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 추가로 사업을 축소하거나 취소하는 곳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