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국무위원 평균 재산 12억3900만원

입력 2013-02-14 22:34

박근혜 정부의 초대 내각 국무총리 후보자 및 장관 후보자 7명의 1인당 평균 재산은 12억3900만원으로 집계됐다. ‘강부자’(강남 땅부자)라는 비판을 받았던 이명박 정부 첫 내각의 장관 후보자 15명의 평균 재산(39억1000만원)과 비교하면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염두에 두고 재산이 많지 않은 ‘전직 관료’ 위주로 인선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14일 정부와 국회의 공직자윤리위원회에 따르면 정홍원 총리 후보자와 6명의 장관 후보자의 재산 총액은 각자의 재산공개 시점을 기준으로 86억7200만원이다. 정 후보자가 19억1200만원(2011년 공개)으로 가장 많고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 18억4400만원(2008년), 황교안 법무부 장관 후보자 13억700만원(2011년) 순이었다. 서남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 9억7800만원(2008년), 윤병세 외교부 장관 후보자 9억6200만원(2008년),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 9억1600만원(2012년) 등 3명은 10억원에 못 미쳤고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는 7억5300만원(2006년)으로 재산이 가장 적었다.

다만 현재 파악된 후보자 재산이 길게는 7년 가까이 지난 자료여서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공개될 재산과는 차이가 날 수 있다. 실제 재산은 공개 당시보다 늘었을 개연성이 크다. 공직 퇴임 후 다양한 경제활동을 했기 때문이다. 정 후보자는 2011년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에서 물러난 뒤 변호사로 개업했으며 황 후보자도 같은 해 부산고검장에서 퇴임한 뒤 대형 법무법인에 들어갔다.

후보자 가운데 본인과 배우자 이름으로 집을 두 채 가진 1가구 2주택자는 황 후보자와 김 후보자다. 황 후보자는 서울 서초구의 아파트(9억2000만원)를, 부인은 경기도 용인시의 아파트(4억5200만원)를 가졌다고 공개했다. 김 후보자 역시 재산공개 때 본인이 서초구 아파트(11억1200만원)를, 부인이 동작구 아파트(4억9600만원)를 가졌다고 밝혔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