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차 핵실험 파장] 北전역 공격 ‘함대지·잠대지’ 순항미사일 첫 공개
입력 2013-02-15 14:02
국방부가 14일 공개한 함대지·잠대지 순항(크루즈) 미사일은 북한군 지휘부 건물의 창문만 골라 타격할 수 있을 정도로 정밀성이 뛰어나다. 타격연습 장면을 담은 동영상에서 함대지 미사일은 한국형구축함(KDX-II·4400t급) 수직발사대에서 발사돼 목표물에 정확하게 명중했다. 잠대지 미사일은 214급(1800t급) 잠수함 어뢰관을 빠져나와 방수캡슐을 터뜨리면서 바다위로 솟구친 뒤 목표물을 타격했다. 이들 순항미사일의 사거리는 1000㎞ 이상이며 축구장 1개 면적을 초토화시킬 수 있는 타격력을 갖추고 있다. 함대지미사일 해성2를 실은 함정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적을 타격할 수 있어 ‘움직이는 유도탄 사령부’ 역할도 한다. 우리 해역에서 북한 전역을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잠대지 미사일은 더 위협적이다. 은밀히 침투한 잠수함이 북한 해역에서 코앞의 북한군 기지에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탄두에 타격목표를 사전입력, 인공위성위치정보(GPS)를 받아가며 레이더를 피해 공격한다. 따라서 적은 미사일이 발사됐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타격당할 가능성이 크다. 동해안 북측 해역의 경우는 수심이 깊어 우리 잠수함이 해안 10㎞지점까지 잠입할 수 있다. 작전반응 시간도 짧다. 공군 전투기나 함정은 군사분계선을 넘어설 수 없어 목표물과의 거리가 멀면 실제 타격은 발사 후 30∼40분 이후가 된다. 반면 잠수함은 북한 해역에서 곧바로 발사해 5∼10분 안에 타격이 이뤄진다.
그러나 북한의 탄도미사일 이동식발사대를 타격하기는 쉽지 않다. 이동식발사대의 움직임을 수시로 체크하고 북한군 시설변화를 상시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우리 군의 독자적인 감시체계가 없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위치만 정확히 파악하면 정밀 타격이 가능하다”면서 “고고도정찰기와 군사위성을 중심으로 한 독자 감시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