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도발’ 北에 강력 경고] 오바마 “도발 행위는 자신만 더욱 고립… 국제사회가 단호히 대응할 것”
입력 2013-02-13 19:07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2기 임기 첫 국정연설(State of the Union address)에서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 정권은 국제 의무를 준수함으로써 안전과 번영을 얻을 수 있다. 이런 도발 행위는 자신만 더 고립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그들의 위협에 대해 미국은 동맹국들을 지키고 미사일 방어망을 강화하고 국제사회가 단호한 대응을 하도록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초 연설문에는 이처럼 구체적인 경고는 없었으나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자 긴급히 이 부분을 추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오바마 대통령은 이명박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은 핵우산을 통한 억지력을 포함해 대한민국에 대한 방위공약을 변함없이 지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국가별 추가 대북 제재 방안을 강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성환 외교장관은 유엔의 대북제재 논의를 2월 중 매듭짓고 “유엔 제재가 결정된 뒤 한국과 미국 간 (별도의) 제재 문제를 계속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 대표인 김 장관은 이날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엔 제재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한·미 양자 제재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적 기지에 대한 (선제)공격용 장비 보유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베 총리는 12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북한의 미사일 공격을 예상한 질문에 대해 “정부는 지금까지 다른 수단이 없을 때에 한해 적 기지를 공격하는 것이 헌법상의 자위권에 포함된다는 견해를 표명해 왔다”고 답변했다.
그는 공격을 위한 무기 보유 등에 대해서는 한 발 물러선 모양새를 취했지만 “향후 국제 정세는 계속해서 변화해 나갈 것”이라며 여지를 남겼다. 필요 시 탄도미사일 등의 위협을 가하는 적국에 대해 선제공격할 수 있는 안보 환경을 만들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구성찬 신창호 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