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차 핵실험 강행] 국회 국방·정보위 소집 등 정치권도 급박… “北핵실험 규탄” 한목소리

입력 2013-02-12 22:30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12일 한목소리로 북한의 핵실험을 규탄했다. 국회 국방위원회와 정보위원회도 소집되는 등 정치권도 급박하게 움직였다.

새누리당은 오후 3시 국회에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었다. 황우여 대표는 “북한의 핵실험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1718호, 2087호 결의 위반으로서 국제사회에 대한 도발이고, 동북아 평화에 심대한 위협이자 만행”이라며 “북한은 추가 제재와 국제사회로부터의 고립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고 이런 결과는 모두 북한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긴급 최고위에는 당 지도부와 김성한 외교통상부 2차관, 김천식 통일부 차관, 이용걸 국방부 차관 등이 참석했다.

민주당은 오후 3시 긴급 비상대책위원회를 소집해 대책을 논의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그 어떤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북한의 핵 도발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7000만 겨레의 안위와 한반도 평화, 나아가 동북아 안정을 뒤흔든 북한 당국의 만행을 민족의 이름으로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대위원들도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 “용서할 수 없는 민족에 대한 배반” 등의 격한 표현을 쓰며 북한을 비판했다.

앞서 황 대표와 문 위원장은 오후 2시30분쯤 통화를 하고 북한 핵실험에 대한 초당적 대처에 뜻을 모았다.

오후 4시에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에서도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한 대응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회의에 참석한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한·미 공조 하에 맞춤형 핵 억제를 하겠다”며 “한반도 전역을 커버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을 조기 전력화하도록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또 북한의 동시다발적 핵실험 가능성을 묻는 질의에는 “다른 나라 예를 보면 하루에도 몇 차례 한 경우도 있어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김광진, 김재윤 의원은 김 장관과 이명박 대통령이 북한 핵실험 예고 통보를 받은 시점이 다르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김 장관은 11일 오후 10시에 미국으로부터 보고를 받았음에도 이 대통령은 12일 새벽에야 보고를 받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북한이 ‘준비가 되면 하겠다’고 한 통보이기 때문에 몇 시간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은 괜찮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국회 국방위는 이날 북한의 3차 핵실험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같은 시각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에서도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이 핵실험을 전후한 북한 동향을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한 핵 기술이 아직 소량화, 경량화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추가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통합진보당은 논평에서 “북한의 핵실험은 대화 없는 북·미 관계, 파탄난 남북관계의 안타까운 귀결”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 버락 오바마 정부에는 북·미 대화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에게는 평화 프로세스 제시를 촉구했다. 하지만 북한을 규탄하는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