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차 핵실험 강행] 朴당선인 “北 핵무장 용인 않을 것”
입력 2013-02-13 01:54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12일 정권교체기를 틈탄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을 강력히 규탄하고, 안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긴밀하게 공동 대처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과 박 당선인은 오후 3시부터 23분간 청와대 백악실에서 단독 회동을 갖고 흔들림 없는 대북정책을 견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박 당선인은 회동에서 “북한이 정권교체기에 도발한 것은 우리 정부와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혼란에 빠뜨리려는 게 아닌가 한다”며 “정파를 떠나 합심하고 일사불란하게 대처해서 조그만 틈도 나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28일에 이어 46일 만에 만난 두 사람은 북한이 이번 핵실험을 강행함으로써 국제사회로부터 점점 더 고립돼 큰 어려움에 봉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대통령은 밤늦게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갖고 대북 공조와 향후 제재 문제 등을 협의했다. 이 대통령은 13일 오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도 통화할 예정이다.
박 당선인은 앞서 서울 통의동 집무실에서 긴급회의를 소집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로부터 현황보고를 받고 “새 정부는 어떤 경우에도 북한의 핵무장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며 강력한 억제력을 토대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북한 핵실험 직후 이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가진 뒤 강력한 군사·외교적 대응을 천명했다. 정부는 성명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현재 개발 중인, 북한 전역을 사정권으로 한 미사일을 조기에 배치하는 등 군사적 영향을 확충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유엔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 하에 안보리 차원의 조치를 포함해 북한의 핵 포기를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과 제임스 서먼 한미연합사령관, 성김 주한 미국 대사는 국방부에서 긴급 협의를 갖고 한·미 양국은 경계 및 감시 태세를 강화하고 북한의 추가 군사도발에 강력히 대응키로 했다. 군 당국은 핵 실험 직후 군사대비태세를 3단계에서 2단계로 격상했고, 한미연합사도 북한의 추가 군사도발에 대비, 대북 정보감시태세 ‘워치콘’을 3단계에서 2단계로 올렸다. 미국은 고공 전략 정찰기 U-2 운행횟수를 늘리고, 북한의 핵실험 물질이 우라늄인지 플루토늄인지 파악하기 위해 동해 공해상에 WC-135W(콘스턴트 피닉스) 특수정찰기를 투입했다.
김재중 기자,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