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차 핵실험 강행] 시민들 “南정권교체 앞두고 불안 조장” 비난 속 차분
입력 2013-02-12 18:18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 소식이 알려지자 시민들은 북한의 추가도발 가능성과 한반도 정세 악화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냈다. 직장인들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핵실험 관련 속보를 계속 확인했고, 시내 곳곳에 설치된 TV 앞에도 많은 시민들이 모여 국내외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회사원 김선영(27·여)씨는 “북한이 미국과 중국에 이미 통보했다는데 우리나라는 대응이 느린 것 같다”며 “당장 전쟁이 일어나지는 않겠지만 신경 쓰이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대학원생 최계원(29)씨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핵실험을 강행한 것은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라면서 “정권 교체를 앞두고 모두를 불안하게 만들려는 속셈”이라고 말했다. 반면 회사원 김혜리(27·여)씨는 “북한의 행태가 이젠 불안하지도 않다”며 “문제를 만드는 북한에 화가 나지만 무슨 일이 닥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인터넷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도 북한 핵실험 관련 내용들이 계속 리트윗(RT)되면서 긴장감이 드러났다. 정부의 강경한 대응을 요구하는 입장과 ‘대화로 해결하자’는 입장이 맞섰다. 트위터리안 market******는 “이젠 말 대신 행동이 필요한 때다. 모든 금융제한 조치를 취하고 중국과 러시아의 협조를 구해 교류도 중단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이디 seo****는 “정전협정 60년 만에 또다시 전쟁의 먹구름이 드리워졌다”며 “대화창구를 만들어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단체와 탈북자 단체들도 핵실험을 강하게 비판하며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김윤태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사무총장은 “16일인 김정일 생일을 전후로 핵실험을 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있었기 때문에 예고된 수순”이라며 “북한은 오늘 핵실험으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김영일 대표는 “북핵이 더 이상 한반도와 동아시아만을 겨누는 게 아니기 때문에 전 세계의 공통된 인식이 필요하다”면서 “국제사회가 말이 아닌 행동을 통해 북한에 실효성 있는 제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화 탈북난민인권연합회장은 “집권 이후 이룬 것이 없는 김정은 체제의 마지막 발악”이라며 “최악의 경제 상황에서 체제에 반기를 드는 주민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북한이 무리수를 둔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 회장은 “하지만 북한 주민들조차 핵실험으로 내부 상황이 나아진다고 생각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편 경찰은 핵실험 직후인 오후 12시30분을 기해 전 경찰이 ‘경계 강화’ 비상근무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국가 중요시설과 공항 등을 중심으로 경계수위를 높이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등에 대한 신변 보호도 강화했다. 김기용 경찰청장은 오후 1시30분쯤 전국 지방경찰청장 화상회의를 열고 “북한군의 침투·도발 등 위기 상황 매뉴얼에 따라 현장 지휘관들이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