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차 핵실험 강행] 강력 경고했는데 뒤통수 맞은 중국, 이제 등 돌리나
입력 2013-02-12 23:48
중국은 12일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강행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과거와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나타냈다. 중국은 이날 춘제(春節·설) 연휴에 핵실험을 할 경우에 대비해 구성한 비상라인을 가동,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 소집에 동의하고 ‘외교부 성명’이라는 강화된 형식을 통해 정부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국 정부가 최근 핵실험 저지를 위해 북한에 대해 과거 어느 때보다 강력한 경고를 보냈던 사실과 함께 향후 중국의 대응 수위가 높아질 것임을 보여준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은 중국이 핵실험 뒤 하루도 지나지 않아 안보리를 소집하는 데 동의한 것은 크게 달라진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더욱이 중국 정부가 외교부 대변인 발표문이나 대변인 정례 브리핑 발언이 아닌 성명을 통해 핵실험에 대한 단호한 반대 의사를 밝힌 것은 향후 대응이 과거와 다를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외교부 성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반대를 무시하고 재차 핵실험을 실시했다”며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단호한 반대를 표시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우리는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지키고 사태를 악화시킬 수 있는 행동을 다시는 하지 말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면서 “각 당사국은 냉정하게 대응할 것을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한반도사무판공실, 아주사(亞洲司·국에 해당됨), 국제사, 신문판공실 등을 중심으로 사실 확인 및 사후 대응을 위해 긴박하게 움직였다고 외교 소식통이 전했다. 이 소식통은 “중국 정부는 북한 핵실험을 저지하기 위해 강하게 압박했는데도 불구하고 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나자 고민이 클 것”이라며 “이에 따라 안보리에서 논의될 대북한 제재는 과거보다 수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엔주재 한 외교관은 이와 관련해 “북한의 이번 행동은 중국에는 커다란 도전”이라고 표현하면서 “중국을 포함해 미국, 러시아 등은 (북한에 대해) 강경한 조치를 취하는 데 조속히 동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AFP통신에 밝혔다.
가장 큰 관심은 중국이 안보리 차원 제재 외에 독자적인 제재를 할지 여부다. 특히 중국이 대북 원조를 지속할지 주목된다. 중국이 취할 수 있는 제재 방안 가운데 현실적으로 북한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게 원조 축소이기 때문이다. 중국은 11일 저녁 북한의 핵실험 방침을 통보받고 주중 북한대사관 및 주평양 중국대사관 채널을 통해 재차 만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관영 언론은 이날 처음에는 확인된 사실만 알리는 조심스런 모습을 보였으나 북한 중앙통신이 “3차 지하 핵실험에 성공했다”고 보도하자 발표문 전체를 지체 없이 전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