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차 핵실험 강행] 안보리, 核실험 강력 비난… 추가제재 논의

입력 2013-02-13 02:14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12일 3차 핵실험을 강행하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긴급회의를 갖고 대책을 논의했다.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등 국제사회도 지역 안정을 훼손한다며 비난했다.



이달 들어 순번제 의장국 자격을 얻은 한국은 김숙 유엔 주재 대사가 의장 자격으로 이날 오전 9시(현지시간)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통보했다.



안보리 회의 후 발표될 성명은 북한의 핵실험이 기존 안보리 결의 2087호 등을 위반한 것으로 국제평화와 안전을 위태롭게 했다며 추가 제재 방침을 분명히 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안보리와는 별도로 미국은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대응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특히 미 의회 연례 국정연설을 하루 앞두고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 만큼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는 것이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새벽 1시45분(미 동부시간 기준) 직접 성명을 통해 “지난해 12월 미사일 발사에 이은 심각한 도발 행위”라고 비난하면서 “북한의 핵무기 및 미사일 프로그램은 미국의 국가안보와 국제평화, 안보에 대한 위협요인”이라고 규정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북한의 핵실험에 “명백하고도 중대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 위반으로 매우 유감스럽고 안정을 해치는 도발 행위”라고 말했다.



일본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중심으로 총리관저에서 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하고 재일조선인총연합회 간부의 방북금지 대상을 확대하는 등 독자적인 제재를 포함해 모든 수단으로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또 방사성물질 유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공자위대 소속 군용기 3대를 동원해 대기표본을 채집했다.



러시아와 영국, 프랑스 등도 “북한의 행위는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한 것”이라며 비난 대열에 합류했다. 중국 외교부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보편적 반대를 무시하고 핵실험을 실시했으며 이에 단호하게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양제츠 외교부장은 이날 지재룡 베이징주재 북한 대사를 초치, 핵실험에 대해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시하면서 향후 대화 복귀를 촉구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이제훈 기자,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