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3차 핵실험’ 흘려놓고 20일째 감감… 北, 시기 조절 중인가 이대로 접나
입력 2013-02-12 00:05
북한이 외무성 성명을 통해 3차 핵실험을 시사한 뒤 20일이 지났다. 지난달 말부터 “곧 핵실험을 강행할 것”이라던 우리 정부의 예측은 현재까지는 빗나간 상태다. 여기에다 북한은 ‘핵실험을 하겠다고 명확하게 말한 적이 없다’는 메시지를 흘리며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11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8일부터 사람과 장비의 움직임이 관측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핵실험 준비의 마지막 단계가 실험장 주변 사람들을 소개하는 것이어서 조만간 핵실험을 하려는 조짐일 수도, 단순히 설 명절과 관련된 휴식일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조심스럽게 ‘시기 조절론’이 거론된다. 북한이 벼랑 끝 전술의 마지막 카드인 핵실험을 쉽게 꺼내지 않으리란 관측에서다. 9일 북한 웹 사이트 ‘우리민족끼리’에 따르면 대외 선전용 주간지 통일신보는 지난달 26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결정한 국가적 중대 조치에 대해 “미국이 핵실험으로 지레짐작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 지난달 23일 외무성 성명은 1·2차 핵실험을 예고했던 과거 외무성 성명과 비교해 핵실험 예고 수위가 낮았다. 핵실험이란 단어는 쓰지 않았다. 다음날 국방위원회 성명에서 ‘우리가 진행할 높은 수준의 핵실험’이라고 밝혔지만 외무성 성명만 볼 때는 핵실험을 하지 않을 여지도 남겨둔 셈이다.
하지만 핵실험을 강행하리라 보는 시각이 현재로선 우세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통일신보는 북한의 공식 입장을 대변한다고 할 수 없다. 기만술책에 불과하다”며 “북한이 뒷걸음질치기에는 너무 멀리 와있고, 김정은의 최종 결정만 남은 상태”라고 했다.
정부는 이번 주가 3차 핵실험의 최대 고비라고 본다. 북한이 박근혜 정부와의 관계 개선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이명박 정부가 있을 때 핵실험을 하려 할 테고, 그러려면 이번 주에 해야 한다. 미국을 겨냥한다는 측면에서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연두교서 발표일(12일) 전후, 내부 결속 차원에서는 김정일 생일(16일)이 디데이(D-day)로 꼽힌다. 만약 미국의 ‘대통령의 날’(18일)까지 잠잠할 경우 지금과 다른 국면이 펼쳐질 가능성도 있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