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총리 후보 검증] 1급 현역서 4년후 5급 면제… 아들 병역문제 최대 뇌관

입력 2013-02-11 22:02


김용준 후보자의 낙마로 박근혜 정부 초대 국무총리로 지명된 정홍원 후보자는 무사히 국회 인사청문회의 검증 벽을 넘을 수 있을까. 이번 청문회 쟁점은 아들 병역 면제와 예금 등 재산 증식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정 후보자는 11일 총리실 청문회준비단을 통해 관련 의혹을 적극 해명했다.

◇또 아들 군대 안 갔다=현재 창원지검 통영지청 검사로 재직 중인 정 후보자의 외아들 우준(35)씨는 1997년 첫 신체검사 때 1급 현역 판정을 받았지만 2000년 대학원 진학을 이유로 병역을 연기했다. 이후 서울대 석사과정 때인 2001년 병역처분 변경 신청을 한 뒤 같은 해 재검에서 허리 디스크(수핵탈추증)로 5급 면제 판정을 받았다. 당시 사법시험 준비도 병행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정 후보자 측은 병적기록표를 공개하며 “대학원 실험 참여로 허리에 무리가 왔고 여름 휴가철에 동해안을 다녀오다 장기간 운전으로 통증이 심화됐다”고 해명했다. 이후 당장 수술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고 1년 넘게 치료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면제 뒤 20여 차례 한방병원 진료 기록도 제시했다. 그러나 민주통합당 우원식 원내수석부대표는 “벌써부터 ‘아들이 또 군대에 안 갔느냐’며 불신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석연치 않은 재산 증식=예금 자산이 크게 늘어난 것도 쟁점이다. 정 후보자는 2006년 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직을 퇴직할 때 예금자산이 4억8000여만원이었으나 2008년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에 취임한 뒤엔 10억3000여만원으로 증가했다. 공직 퇴직 직후 법무법인 로고스의 고문변호사로 일하면서 고액 연봉을 받았다는 얘기다. 그의 재산은 2011년 8월 19억7300만원이었으며 이 중 예금은 47.5%인 9억3900만원이었다. 1995년(5700만원대)에 비해 15배 넘게 증가했다.

1995년 대전지검 차장검사 때 경남 김해 삼정동 땅(466.3㎡)에 대한 투기 의혹도 일고 있다. 해당 땅이 매입 당시보다 최소 5∼6배는 뛴 것으로 야당은 보고 있다. 부인 소유의 김해 임야와 논은 1985년 상속받은 뒤 2009년 남동생에게 다시 증여했는데 2006년 재산신고 때에는 누락돼 있다.

◇검사 때 사건 처리 ‘도마’=정 후보자가 처리한 1990년대 ‘의정부 법조비리’ 사건과 ‘국회 노동위 돈봉투’ 사건도 검증 대상이다. 그는 법조비리 사건에 대해선 뇌물공여죄를 인정했지만 ‘사법부 권위’를 존중해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다. 돈봉투 사건 때도 돈을 건넨 보험사 사장만 구속됐고 국회의원 16명이 수사망을 피해가 ‘봐주기’란 비판을 받았다.

책임총리로서의 자질도 들여다볼 대목이다. 국회 인사청문특위 민주당 간사인 민병두 의원은 기자간담회에서 “30년간 검사로 재직한 인생 경력으로 볼 때 정 후보자는 좁게 살았다. 폭넓은 분야를 이끌 수 있을지 따지겠다”고 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