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당선인 2월 8일 1차 인선] 검증 어떻게 했는 지 ‘베일’

입력 2013-02-07 22:25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야 하는 국무총리 및 장관 후보군을 자체적으로 검증하는 작업으로 설 연휴를 보내게 됐다. 늦어지는 인선안 발표로 새 정부의 정상적인 출범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와 언론 등의 검증을 피하기 위한 ‘꼼수’라는 비판까지 감수하면서 검증에 매진하겠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은 7일 국회에서 열린 여야 대표와의 ‘북핵 관련 3자 회동’에서 박근혜 정부의 첫 인선안 발표에 총리 후보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사검증 때문에 인선 발표가 좀 늦어질 것 같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윤창중 대통령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8일 청와대 비서실장 발표에 이은 추가 인선 발표 시기를 “설 연휴 이후”라고 설명하면서 “인선과 검증이 마무리되는 대로”라고 단서를 달았다. 그는 “연휴 기간 언론인들은 충분히 쉬어도 된다는 것”이라고도 했다. 검증이 필요한 후보군에 대한 인선 작업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고, 1주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될 것이란 의미로 해석된다.

그동안 박 당선인이 누구를 통해서, 어떤 방식으로 인사들을 검증했는지는 베일에 감춰져 있다. 박 당선인의 검증 절차에 대해 알려진 내용은 당선인 비서실 위주로 진행했고, 국세청·경찰청·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 등 정부에서 검증 관련 인력을 지원받았으며 청와대 인재풀을 일부 참고했다는 정도다. 그러나 전부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설(說)에 불과했다. 따로 비선 라인을 가동해 검증팀을 꾸렸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다만 지난달 29일 김용준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국무총리 후보직에서 낙마한 뒤 2주일 이상 강도 높게 진행된 검증 결과물이 설을 쇠고 드디어 실체를 드러내게 되는 것은 확실하다. 8일 발표되는 인사들도 당선인의 검증 작업을 도울 것으로 전망된다.

김 위원장은 부동산 투기, 탈세 등 기본적인 검증 항목에 해당하는 의혹이 집중적으로 터지면서 주저앉았다. 이 때문에 이번 검증 기준은 철저하게 도덕성에 맞춰지고,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는 청렴한 인사를 선보일 것이란 예상이다.

그러면서 박 당선인과 국정철학을 공유할 수 있고 능력도 있는 후보자를 고르기 위해 고심할 것으로 관측된다. 당선인을 잘 아는 여권 인사는 “청문회 통과가 필수 요건은 맞지만 검증 기준의 전부는 아닐 것”이라며 “인수위, 당직 인선에서도 드러났듯 박 당선인은 자신을 잘 이해해 호흡을 맞출 수 있고, 전문성까지 갖춘 인재를 발탁한다”고 밝혔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