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연평도서 ‘한반도 평화안보 선언’… 北 핵도발 중단 촉구

입력 2013-02-06 21:18


민주통합당 소속 송영길 인천시장은 지난 1일 충남 보령에서 열린 ‘민주당 혁신 워크숍’ 때 자유발언 시간이 주어지자 직접 단상으로 나가 마이크를 잡고선 “당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문제를 비롯해 국가 안보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정리해야 한다”고 소리를 박박 지르면서 불만을 터뜨렸다. 그는 지난달 28일 여의도에서 기자들과 만나서도 “대선 때 수도권에서 문재인 전 후보가 패배한 이유 중 하나가 NLL 문제로 인천과 경기북부 일대 유권자들이 등을 돌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 등 지도부가 6일 오후 연평도를 방문해 비대위 회의를 개최하고 해병대 장병을 격려하는 등 이틀째 안보 행보를 이어간 것도 당내 이런 불만을 감안한 때문이다. 전날에는 박기춘 원내대표가 청주 공군 제17전투비행단을 방문해 현황 보고를 받고 장병들을 위로했다.

지도부는 비대위 회의에서 백군기 의원 등 군 출신 인사들로 구성되는 ‘한반도 안보평화위원회’를 당내에 설치키로 결의했다. 제2연평해전 등 북측의 도발로 숨진 장병들의 동상이 세워진 연평 평화공원에서는 ‘한반도 평화안보 선언문’을 발표했다. 북한에 핵실험 등의 도발행위를 중단할 것과 우리 측도 안보를 더 강화해야 한다는 게 주된 내용이다.

문 위원장은 “북한의 도발행위를 중지하려면 안보를 굳건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병호 비대위원도 “민주당이 안보 문제에 더 이상 적당히 넘어가선 안 된다. 지도부가 백령도와 연평도에 더 자주 와야 한다”고 했다.

한편 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이날 오후 회의를 열어 논란이 돼온 전당대회 시기를 3월 말∼4월 초로 결정했다. 또 차기 지도부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별도 선거로 뽑아 당 대표 권한을 한층 강화한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구성키로 했다. 현재는 선거를 한꺼번에 치러 1등 후보는 대표, 2∼6등은 최고위원을 맡는 ‘순수 집단지도체제’다.

차기 지도부 임기는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내년 9월까지 하기로 했다. 그동안 주류는 전대를 5월에 실시하고 대표 임기는 전임 대표의 잔여임기인 내년 1월까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비주류는 3∼4월에 조기 전대를 치르고 지방선거 공천권이 부여되도록 임기를 더 늘리자고 요구해 왔다. 전대 준비위가 사실상 비주류 쪽 의견을 적극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전대준비위 결정 사항은 비대위 의결을 거쳐야 하지만 다수가 비주류여서 그대로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