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환자 사망률 20% 미만으로 낮춘다… 정부, 2017년까지 현행 응급의료체계 전면 개편

입력 2013-02-06 18:10

정부가 2017년까지 예방 가능한 외상 환자 사망률은 20% 미만으로 낮추고, 심장 정지 환자 생존 퇴원율은 8.2% 이상 높이는 것을 목표로 현행 응급의료체계를 전면 개편키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6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2013∼2017년 응급의료기본계획(안)’ 공청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국내 예방 가능한 외상 환자 사망률은 2010년 기준 35%로 일본 10.3%, 미국 15%에 비해 높은 편이다. 심장 정지 환자가 생존해 퇴원할 확률 역시 3.3%로 미국 9.6%보다 떨어진다. 또 응급실 이용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응급의료서비스 만족도는 40.4%로 낮다. 복지부는 “특히 농어촌 지역은 전문 인력 부족 등으로 24시간 응급실 유지가 어려울 뿐 아니라 장거리 환자 이송으로 제때 응급의료 서비스를 받기 힘든 실정”이라면서 응급의료체계 개편 배경을 설명했다.

우선 응급의료기관의 역할을 기능 중심으로 개편하기로 했다. 초기 치료를 도맡는 ‘지역응급의료기관’과 중증 응급환자가 골든타임(치료 가능 적정시간) 안에 수술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센터’로 이원화해 응급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계획이다. 또 중증 외상환자를 위한 권역외상센터를 2015년까지 17개 시도에 배치하고 외상외과 전문의를 300명 육성키로 했다. 권역심·뇌혈관센터 11곳을 거점으로 심근경색증과 뇌졸중 24시간 응급진료체계도 운영한다. 아울러 응급수술이 필요한 환자가 병원을 전전하다 숨지는 일이 없도록 지역별 응급수술 순환 당직제를 운영키로 했다.

또 전국 어디서나 30분 안에 응급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군(郡)마다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키로 했다. 이를 위해 지역당 운영 지원 예산을 2억5000만원에서 4억원으로 대폭 늘릴 방침이다.

정부는 특히 환자 이송단계에서 중증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응급의료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컨트롤타워를 구축키로 했다. 일단 환자가 발생하면 중증인지 경증인지를 가려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119구급대의 전문성을 높이고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적극 활용해 응급처치 및 응급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키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같은 응급의료체계 개편을 통해 중증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내 최종 치료기관 도착 비율을 2011년 48.6%에서 17년 60% 이상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기본계획 추진에 연간 2000억원씩, 5년간 총 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공청회 의견 수렴을 거쳐 오는 13일 중앙응급의료위원회를 열고 최종안을 심의·확정한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