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실험 임박] 당선인·與野대표 2월 7일 3자회동 북핵 머리 맞댄다… 朴 제안에 野 수용 ‘성사’
입력 2013-02-06 21:17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7일 북핵 문제를 비롯한 한반도 안보 상황을 논의하기 위해 3자 회동을 갖는다.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은 6일 “박 당선인과 황 대표, 문 위원장이 7일 오후 2시 국회에서 만나 북한 핵실험 준비에 대한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용진 민주당 대변인도 “3자 회동이 합의됐다”며 “북핵 문제가 핵심 의제”라고 말했다.
앞서 조윤선 당선인 대변인은 서울 삼청동 인수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북한의 핵실험 위협으로 한반도의 안보가 심각하게 위협받는 상황”이라며 박 당선인의 긴급회의 제안을 발표했다. 조 대변인은 “안보와 관련해서는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고 안보 상황을 여야가 함께 협의해야 한다는 게 박 당선인의 인식”이라고 설명했다.
당초 당선인 측은 긴급회의에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대표,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장과 여야 간사, 대통령직인수위 외교국방통일분과 간사 및 인수위원의 참여를 희망했다. 하지만 민주당이 이 대통령을 포함한 4자 회담을 역제안하자 실무협의 과정에서 이 대통령을 제외하자는 새누리당의 주장과 인수위원은 격에 맞지 않는다는 민주당의 입장이 절충됐다.
박 당선인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맞닥뜨리게 될 한반도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여야의 초당적 협력이 절실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관측된다. 또 김용준 전 총리 후보자의 사퇴 이후 부실 검증 논란으로 수세에 몰려 있는 위기 상황을 안보 리더십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도 엿보인다.
민주당 문 위원장은 “북한의 3차 핵실험은 우리 민족에 재앙이 될 수 있다”며 “그걸 막기 위해 여야를 떠나 대통령이건 당선인이건 힘을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을 위해 철저한 안보태세 확립과 상응한 핵실험 대응 조치를 같이 논의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게 으뜸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박 당선인과 민주당은 북한 핵실험 반대 입장엔 차이가 없지만 한반도 안보 위기 상황을 풀어나가는 구체적 해법에서는 시각차를 보이고 있어 3자 회동이 얼마만큼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박 당선인은 미국 등 국제사회의 제재를 통한 핵 포기에 무게를 싣고 있지만, 민주당은 남북 당국과 한반도 주변 이해당사자 간의 전면적인 대화 재개를 촉구해 왔다.
김재중 김아진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