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전통시장 살리기 10년’ 효과가 없다… 시설 현대화에 치중한 지원정책 전면 수정해야
입력 2013-02-05 19:36
대구시가 지난 10년간 전통시장 살리기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었지만 좀처럼 전통시장 회생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전통시장 살리기 정책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5일 대구시에 따르면 시가 본격적으로 전통시장 살리기에 나선 것은 시설 현대화 사업이 시작된 2002년부터로 지난해까지 10년간 1560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올해도 123억이 투입된다.
예산의 대부분은 지붕설치 등 시설 개선에 쓰였다. 또 2007년부터는 전통시장 상품권을 유통시켰고, 최근에는 대형마트 영업시간까지 규제했다.
시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 밀려 전통시장 매출은 해마다 줄었다. 시가 대구지역 전통시장 135곳의 매출을 조사한 결과 2005년 16조9000억원이던 매출액이 2006년 15조4000억원, 2007년 13조8000억원, 2008년 13조2000억원, 2009년 13조원, 2010년 12조9000억원으로 줄었다. 시장 내 점포수도 2005년 1만8000곳, 2006년 1만6300곳, 2008년 1만3900곳, 2010년 1만4800곳으로 감소 추세다.
상황이 이런데도 시는 낙관적이다. 2010년 전통시장 활성화 등급 13위였던 것이 지난해 7위로 올라갔고, 지난해 매출도 13조원을 넘어섰다는 것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해 전통시장 상품권 회수액이 200억여 원이나 되는 등 전통시장이 활성화 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해 매출 추정액의 경우 2005년 액수에 한참 모자란다. 전통시장 상품권 회수액도 지난해 매출액 예상치 13조여 원의 0.15%만을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전통시장 분위기는 시와 정반대다. 이날 대구 동구시장 한 채소가게 주인 김모(49·여)씨는 “설이라 손님이 조금 늘었지만 예전에 비해 한참 모자란다”며 “편하고 깨끗한 대형마트에 가지 굳이 여기 오겠냐”고 걱정했다.
경북대 지역시장연구소 장흥섭(62·경영학부 교수) 소장은 “시설투자 등 하드웨어에 치중한 대구시의 정책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며 “경영 현대화나 상인의식 변화 등 자생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정책이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글·사진 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