長考는 끝났다… 총리 후보자 빠르면 2월 6일 지명할 듯
입력 2013-02-05 18:53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이르면 6일 국무총리 후보자를 지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늦어도 설 연휴 전에는 새 총리 후보자가 발표될 전망이다. 총리 인선이 늦어지면서 청와대 비서실장을 먼저 임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으나 박 당선인은 당초 계획대로 ‘선(先) 총리, 후(後) 비서실장’ 순으로 인선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박 당선인은 5일 서울 삼청동 안가에서 새누리당 경북지역 의원들과 오찬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박 당선인은 한 참석자가 건배사 도중 “총리 후보자 낙마로 근심하는 국민들이 많다”고 우려를 표하자 “곧 발표하겠다. 새 정부 출범에 지장이 없도록 잘 하겠다”고 답했다고 복수의 참석자가 전했다. 한 의원은 “웃으면서 대화가 오갔다”며 “총리와 관련해 더 이상 깊은 대화가 오가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의 발언과 평소 ‘법과 원칙’을 강조하는 스타일을 고려하면 6일에는 총리 인선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 인사청문회법은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부터 20일 이내에 심사 또는 인사청문을 마쳐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새 정부 출범일은 25일이고, 여야는 초대 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26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총리 후보자가 6일까지는 지명돼야 국회 절차가 무리 없이 진행될 수 있고 정부 출범에도 차질이 없다는 것이다.
하루 이틀 늦어지더라도 설 연휴를 넘길 가능성은 희박하다. 설 연휴를 넘긴다면 연휴 기간 여론이 급격히 악화되는 것은 물론 박 당선인이 국회 인사청문회법을 어겼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20명 가까운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부실 검증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박 당선인이 ‘설 연휴 전 총리 발표’로 가닥을 잡은 배경에는 총리 후보자가 장관 인선을 들여다볼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 당선인은 대선 과정에서 총리의 국무위원 제청권을 보장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종합하면 박 당선인은 ‘6일 총리 지명→설 연휴에 총리와 장관 인사 논의→14일 정부조직법 개정안 국회 통과 후 장관 후보자 발표→26일 총리 임명동의안 처리’ 순으로 로드맵을 세운 것으로 분석된다. 청와대 비서실장은 총리 발표 직후 임명돼 장관 후보들의 인사 검증과 인사청문회 대처 등을 주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유력한 총리 후보로는 김진선 대통령취임준비위원장이 꼽힌다. 강원지사를 역임한 그는 행정 경험이 풍부하다. 법조인으로는 안대희 전 대법관과 조무제 전 대법관이 거론된다. 조 전 대법관은 ‘딸깍발이’라는 별명처럼 청빈함이 강점이다.
엄기영 유성열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