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안팎 악재 朴의 선택은… 낮은 지지율·북핵 곤혹

입력 2013-02-05 19:05


‘박근혜호(號)’가 출항도 하기 전에 내우외환을 겪고 있다. 안으로는 인선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고, 밖으로는 낮은 지지율과 북한의 3차 핵실험 등에 직면하고 있어서다.

가장 큰 문제는 정부 조각(組閣)이다. 오늘내일 하는 청와대 비서실장과 국무총리 인선은 5일에도 발표되지 않았다. 박근혜 당선인 측근들은 “정말 모르겠다”거나 “조짐이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취임식을 20일 앞두고도 장관은 물론 총리마저 지명하지 못하는 이례적인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전 정부와 비교하면 ‘조각 지연’은 더 두드러진다. 이명박 정부는 2008년 1월 28일, 노무현 정부는 2003년 1월 22일 총리 후보자를 지명했다.

늑장 인선은 첫 인사인 총리 후보 지명이 꼬이면서 시작됐다. ‘법치’의 상징이라며 자신있게 낙점했던 김용준 인수위원장이 아들 병역, 부동산 문제로 5일 만에 자진사퇴했기 때문이다. 국무위원 인사제청권을 행사해야 할 총리 후보자가 낙마하면서 스케줄이 엉켜버린 셈이다. 조각이 ‘초치기’에 돌입했지만 야당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벼르고 있어 무사 통과도 장담할 수 없다.

인수위원들은 잊을만하면 구설에 오르고 있다. 지난달 그만둔 최대석 위원의 사퇴 배경이 여전히 미스터리인 상황에서 장순흥 위원은 관할 기관의 관용차를 이용한 것이 드러나 여론의 눈총을 받고 있다. 인수위가 야심차게 준비했던 국정과제 토론회는 외교국방통일 등 4개 분과 토론회를 설 연휴 이후로 잠정 연기한 상태다.

외부 변수는 더 녹록지 않다. 우선 박 당선인의 지지율이 역대 최저 수준이다. 4일 공개된 한국갤럽 조사를 보면 박 당선인의 직무수행 지지율은 52%에 그쳤다. 이전 당선인들이 ‘허니문 효과’에 따라 대선 득표율보다 훨씬 높은 지지를 얻었던 것과 비교하면 심상치 않은 ‘적신호’다.

북한도 조만간 3차 핵실험을 실시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박 당선인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남북한 정치·군사적 신뢰 구축을 담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핵실험이 이뤄질 경우 틀 자체를 새로 짜야 할지도 모른다. 아울러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부처와 야당 반발에 여당 일부도 동참하고 있고,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의 ‘버티기’도 새 정부 출범에 부담을 주는 요소다. 박 당선인이 이 모든 불안요인을 일거에 해소하고 새 정부를 차질 없이 출범시킬지 주목된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