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강원도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입력 2013-02-04 21:01


충북·강원도에 각각 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됐다.

지식경제부는 4일 제56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고 충북, 강원 동해안권 등 2개 지역을 경제자유구역으로 공식 지정했다고 밝혔다.

충북 경제자유구역에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9.08㎢ 면적에 사업비 1조9942억원이 투입된다. 오송에 거점을 둔 ‘바이오 밸리’, 청주공항을 기반으로 한 ‘에어로 폴리스’, 충주의 ‘에코 폴리스’를 신(新)산업벨트로 연결하는 것이 핵심이다.

바이오 밸리는 오송 생명과학산업단지, 첨단의료복합단지를 활용해 바이오산업과 신약 개발의 핵심지역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에어로 폴리스는 여객·물류·쇼핑·비행교육 등을 복합한 항공단지로 청주공항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에코 폴리스는 충주호와 온천 등을 활용한 바이오 휴양산업과 대체 에너지를 활용한 차량용 부품산업 등을 집중할 계획이다.

충북도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9조3000억원, 신규 일자리 창출 5만명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경제자유구역은 앞으로 충북 경제의 100년을 이끌어 갈 대규모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며 “전국에서 가장 모범적인 경제자유구역을 완성하는 과제만 남아 있다”고 말했다.

강원 동해안권은 올해부터 2024년까지 북평·망상·옥계·구정 등 4개 지구 총 8.25㎢ 면적에 1조3075억원이 투입된다. 기존 경제자유구역 6곳과는 달리 비철금속소재 부품산업과 합금철(페로알로이)산업이 중심이다. 급성장하는 중국 동북3성과 러시아 등 환(環)동해지역을 겨냥한 거점 구축과 남북교류 촉진이 목적이다.

북평 지구는 첨단부품산업과 물류·비즈니스 등이 중심이 된 국제복합산업(ICI)지구로, 망상은 관광·화훼수출이 결합된 플로라시티로 조성된다. 옥계는 마그네슘·리튬 등 희귀광물자원을 활용한 첨단소재 융합산업지구, 구정은 핵심 정주지구로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탄소제로시티 등으로 개발이 추진된다.

외국기업 128개사, 국내기업 14개사가 투자의향을 밝혔고, 동부그룹 포스코 한국절화농협 등 13개사가 개발사업자로 참여한다. 강원도는 경제자유구역 조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20조원, 신규 일자리 창출은 5만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중국 러시아의 동해안 진출에 대비한 북방진출 교두보를 마련함으로써 환동해 경제권의 주도권을 선점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관광에 의존해 왔던 동해안권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춘천·청주=서승진 홍성헌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