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서실장 정무형·비서형·통합형?… 검증 부담에 고민 깊은 朴
입력 2013-02-04 18:45
청와대 비서실장 인사가 4일에도 발표되지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달 청와대 조직개편을 발표하면서 일찌감치 비서실장과 주요 수석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발표가 늦어지면서 인선에 어려움이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인수위원회 관계자는 “비서실장은 인사청문회 대상이 아니니 아무 때나 발표해도 된다”며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비서실장을 총리보다 먼저 발표했고, 이명박 대통령은 총리를 먼저 발표했다”고 말했다. 급할 게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속내까지 여유롭지는 않다. 김용준 총리 후보자 낙마 이후 인수위와 새누리당에서는 꼼꼼한 인사 검증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비서실장을 신속히 임명해 인사 검증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비서실장이 인사 난맥상을 풀어내는 ‘구원투수’가 돼야 한다는 논리다. 따라서 아직 등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구원투수가 정해지지 않았거나 등판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우선 박 당선인이 청와대 입성 시 지역구 의원직을 사퇴해야 하는 현역 의원에게 비서실장을 요청했을 수 있다. 3선인 최경환·유정복·진영 의원 등이 해당된다. 비서실장과 손발을 맞출 정무·민정·홍보수석 등을 함께 발표하려다 보니 늦어진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정수석은 인사 검증, 정무수석은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등 대야 관계, 홍보수석은 대국민 소통을 위해 빠른 인선이 요구된다.
상당수 총리 및 장관 후보군이 인사 검증에 부담을 느끼면서 ‘고사’하는 상황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
내각의 큰 그림이 그려지지 않으니 비서실장을 정무형과 비서형, 또는 둘을 합친 통합형 중 어느 스타일로 기용해야 할지도 박 당선인에게 고민이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