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해킹 공방 확산

입력 2013-02-04 18:35

미국 언론사들에 대한 잇단 해킹 공격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이 먼저 반격의 창을 꺼내들 태세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국가 주요 시설에 대한 사이버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이달 중으로 행정명령을 내릴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3일(현지시간) 미 정치전문지 폴리티코는 미 행정부가 심각한 수준에 이른 외부 사이버 공격에 대한 위기의식으로 인해 의회의 비준을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했다. 파이낸셜타임스도 “사이버 공격이 급증함에 따라 ‘사이버 보안법’에 반대하던 일부 대기업도 정부 개입의 필요성을 공감하게 됐다”면서 “이번 조치가 민간기업을 상대로 한 일반적인 해킹을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행정명령에는 주요 사회기반시설과 금융서비스 등이 중점적으로 포함될 예정이며, 전산시스템 복구능력 향상과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해킹에 대한 방어력 제고가 주로 담길 전망이다. 특히 시기적으로 최근 미국 주요 언론사들에 대한 중국의 해킹 의혹과 맞물려 2기 오바마 행정부의 새로운 사이버 보안 정책을 엿볼 수 있어 주목을 끈다.

외교부를 통해 해킹을 부인해 왔던 중국도 관영 언론사를 동원해 본격적인 방어에 나섰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4일자 해외판 기사를 통해 미국이 제기한 중국발 해킹 논란은 “사이버군을 확대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핑계”라고 비난했다. 신문은 “지금까지 구글과 미 항공우주국, 일부 군수업체 등이 (중국으로부터) 해킹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피해자’들은 많았다”면서 “미국의 의혹은 온·오프라인에서 중국 위협론을 제기해 중국 견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에 서버를 둔 반체제 매체 보쉰은 3일 “최근 해킹 공격이 중국 고위층의 지시에 따른 당 중앙선전부 인터넷관리판공실의 소행”이라고 보도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