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실험 임박] 연일 강경메시지·“원조 감축” 주장까지… 중국의 대북 압박 통할까
입력 2013-02-03 18:21
중국이 북한의 3차 핵실험을 막기 위해 연일 북한에 강경 대응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을 통한 공식입장 전달 외에도 주중 북한대사 초치, 북·중 화물통관 검사 강화 등 여러 경로를 통한 압박에 나선 상태다.
중국이 대북 압박에 적극적으로 나선 이유는 핵실험으로 중국이 한반도 정책의 근간으로 삼아왔던 ‘한반도 안정과 평화’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다음달 열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시진핑(習近平) 총서기의 국가주석직 승계를 앞둔 상황이다. 따라서 대내외적으로 안정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중국이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를 수차례 불러 강력한 경고 의사를 전달한 것도 이런 위기의식을 반영한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3차 핵실험으로 인한 한반도 긴장 국면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새로운 제재 국면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 당국은 북한과의 특수관계를 고려해 대사 초치 사실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3차 핵실험 강행 의사를 천명한 뒤 중국이 즉각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히는 등 양국 간에는 일정수준 이상의 긴장이 형성되고 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최근 사설을 통해 북한이 다시 핵실험에 나선다면 중국은 대북 원조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중국 움직임이 과연 북한의 핵실험 의지를 꺾을 수 있을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지난해 4월 북한이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기 전에도 중국은 북한대사를 불러 경고했었다. 앞서 2006년, 2009년 핵실험을 앞두고도 중국은 북한을 적극 만류했지만, 북한은 개의치 않고 핵실험을 강행했다. 중국 외교부 안팎에선 이런 과거 경험 때문에 핵실험 자제를 위한 특사단을 북한에 파견해도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회의론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