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투표 축소 존치냐 폐지냐… 민주 주류·비주류 전대 룰 기싸움

입력 2013-02-03 18:16

민주통합당이 2일까지 이틀째 개최한 국회의원·지역위원장단 혁신 워크숍에서는 향후 전당대회를 앞두고 전대 개최시기와 모바일 투표 반영 여부, 새 지도부 임기 등 ‘전대 룰’ 사항과 당의 정체성을 어떻게 가져갈지에 대한 노선 문제를 둘러싸고 주류와 비주류가 격돌할 것임을 예고했다.

전대와 관련해 김성곤 전대준비위원장은 기조발제에서 임기 2년짜리 대표를 뽑는 정기전대를 치르는 안이 당내 다수 의견이고 전대는 5월 개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당심(黨心)을 70∼80% 이상 반영하고 권리당원만 모바일 투표를 적용하는 ‘모바일 투표 축소 및 존치안’을 언급했다.

그러나 비주류 측은 ‘3∼4월 조기 전대론’과 모바일 투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새 대표 임기는 2년 또는 최소한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게는 해주자는 입장이다. 반면 주류는 전대는 5월에 치르고 모바일 투표는 존치시키자고 요구했다. 대표 임기도 전임 대표의 남은 임기인 내년 1월까지 하자는 의견이 많다.

또 중립파인 민병두 전략기획위원장의 경우 올해 10월 재·보궐 선거에 즈음해 ‘안철수 신당’이 나올 수 있어 이후 민주당과 신당 간 통합을 염두에 두고 정식 전대 대신 중앙위에서 약식으로 임기 6∼7개월짜리 대표를 뽑자는 안을 제시했다.

이렇듯 세 진영 입장이 천차만별이어서 향후 전대 준비위 내부 룰 회의에서 각 계파가 합의에 이르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노선 투쟁도 예고된다.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비주류 김한길 의원은 3일 트위터 글을 통해 “민주당이 좌·우클릭 논쟁을 하면 위기의 본질을 놓칠 수 있다. 우선은 총·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와 반성이 먼저다”고 밝혔다. 이는 주류 쪽 인사들이 워크숍 등에서 “당이 왜 진보 진영을 포기하려 하느냐”며 당 정체성 이슈를 전면에 내걸려는 데 대해 태클을 걸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민주당은 워크숍을 마치면서 국회의원 겸직 금지, 의원연금 폐지, 국회의원 세비 30% 삭감 등 7가지 준수사항이 담긴 ‘민주당의 신조’라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