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김용준 막아라…朴, 후보자 ‘신상 검증’ 전력

입력 2013-02-03 22:22

국무총리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물밑 검증이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검증 대상인 후보군이 50여명이나 되고 취임식이 불과 2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는 시간적 제약 때문에 부실 검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박 당선인은 비서실을 주축으로 ‘제2의 김용준 사태’를 막기 위한 후보자 신상검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에서 파견된 검증 인력이 비서실 측을 돕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당선인 측 관계자는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비서실장 인선이 가장 시급하다”면서 “비서실장이 결정돼야 박 당선인을 보좌해 총리 및 17개 부처 장관 후보자에 대한 검증을 본격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후보자를 2~3배수로 압축한다고 해도 검증 대상자만 50명이 넘는다.

하지만 김용준 전 총리 후보자의 경우 헌법에 규정된 국민의 4대 의무에 속하는 납세와 병역 문제조차 제대로 검증하지 못했다. 김 전 후보자는 헌법재판소장이던 1990년대 재산과 병역 사항을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신고했고 이는 정부의 관보에 모두 공개돼 있다. 당선인 측은 이런 기초자료 확인조차 소홀했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 안팎에선 총리 후보자로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는 인사가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김진선 대통령취임준비위원장과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민선 강원지사를 세 차례 연임한 김 위원장과 5선 관록의 황 대표는 모두 선거라는 혹독한 여론 검증 과정을 돌파해낸 공통점이 있다. 당 관계자는 “부동산과 병역에서 자신 있는 후보들이지만 각각 평창올림픽조직위원장과 여당 대표라는 ‘할 일’이 있다는 게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박 당선인의 순조로운 조각을 위해 인사청문회법 개정을 추진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키로 했다. 공직 후보자의 신상검증은 청문회 전후 비공개로 진행한다는 방안까지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통합당은 즉각 ‘밀봉런脊薦?청문회’를 밀어붙이려 한다며 역공을 취했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3일 원내대표단럽堉굅騙嬋플돛㎰廢?연석회의에서 “박 당선인이 ‘신상털기식 인사청문회는 문제가 있다’고 한마디 하자 새누리당이 발 빠르게 행동하는 듯하다”면서 “밀봉 인사에 이어 밀봉 청문회, 깜깜이 청문회로 공개 검증을 피해보겠다는 발상”이라고 혹평했다. 윤관석 원내대변인도 “신상털기 청문회를 막는 첫째 조건은 지명 전 당선인 측의 철저한 사전 검증”이라고 강조했다.

우성규 유동근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