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바오 일가 축재 보도 후 美·中 사이버戰 가열… NYT 이어 WSJ·블룸버그도 해킹 당해
입력 2013-02-01 18:43
중국 최고지도자들의 막대한 재산 축적을 보도한 미국 언론들이 잇따라 중국의 해킹 공격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백악관이 외교적인 보복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AP통신이 1일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가 지난해 10월 원자바오 중국 총리 일가의 재산 상황을 취재하던 시기부터 해킹 공격을 받아 임직원의 비밀번호가 유출됐고 이 중 53명의 개인 컴퓨터에 취재 관련 정보를 빼내려는 시도가 있다고 31일 보도하자, 시진핑 중국 주석 일가의 재산을 보도한 블룸버그와 WSJ도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킹 공격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NYT의 해킹 사건을 보도하던 CNN 방송도 중국 전역에서 6분간 차단돼 검은 화면이 방영됐다고 앵커 하라 고라니가 트위터에 밝혔다.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는 31일 중국을 ‘해킹 인민 공화국’이라고 부르면서 언론사뿐만 아니라 미국 정부 조직과 방위 산업체, 민간 연구소, 대학, 기업과 시민단체까지 수년전부터 지속적인 해킹 공격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 대변인은 그러나 “NYT의 중국 해커 공격설은 증거 없는 독단적 결론”이라며 “무책임한 보도”라고 비판했다. 중국 국방부도 “해킹 등 인터넷 보안을 위협하는 모든 행위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복수의 전직 미국 정부 관료는 AP통신에 “백악관 산하의 국가정보위원회(NIC)가 최근의 사이버 위협에 중국 정부가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정보보고서를 작성 중”이라며 “미국 정부가 중국 정부에 더 공격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에 무게를 둘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의 캐틀린 헤이든 대변인은 “사이버 범죄가 미국 경제와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중국의 인민해방군을 포함한 정부 관료들과 이 문제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보복 조치와 관련해, 미국 내 체류하는 일부 중국인의 비자 발급을 취소하고 중국에서 생산될 제품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점검하는 방안이 포함될 것이라고 AP는 전했다.
한편 미국에 본부를 둔 중화권 매체 보쉰(博訊)은 중국의 부패 척결을 총지휘하는 왕치산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의 부인 야오밍산이 미국에 수백만 달러를 호가하는 호화 별장을 보유하고 있다며 별장 사진과 함께 보도했다.
김지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