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靑 인사시스템 활용” 건의… 朴 ‘검증 스타일’ 바뀌나
입력 2013-02-01 18:37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31일 새누리당 지도부와 회동을 가진 것을 계기로 ‘밀봉·나홀로식’ 인사 검증 스타일을 바꾸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국무총리 후보자의 경우 ‘김용준 낙마’ 사태로 인해 주요 사정기관을 활용한 보다 꼼꼼한 검증이 예상된다. 그러나 박 당선인이 언론의 검증방식을 비판할 뿐 개선책을 내놓지 않고 있어 ‘별로 달라질 것 없지 않느냐’는 지적도 적지 않다.
여권 내부에서는 공적 기관을 활용한 적극적인 검증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철통 보안의 수위를 낮추더라도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는 철저한 사전 검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 측 관계자는 1일 “어제 회동에서 ‘청와대 인사시스템을 활용해야 한다’는 건의가 나온 것으로 안다”며 “검증 강화가 중요해졌다”고 밝혔다.
때문에 청와대 비서실장을 먼저 임명하고, 비서실장이 현 정부와 협조해 인사 검증을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렇게 된다면 서류 검증은 물론 현장조사와 탐문조사 등이 포괄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행정안전부와 국세청 자료 등만 활용하더라도 부동산 투기 의혹이나 세금 문제 등은 사전에 걸러질 수 있다. 비서실장이 주도하는 인사검증팀에는 외부 전문가가 포함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미 장관급 후보자에 대해서는 청와대에 협조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이 보유 중인 인사파일에는 1만명에 달하는 주요 공직 후보군의 가족관계, 병역 및 납세 기록과 연구 및 직무윤리 관련 자료가 담겨져 있다.
그러나 여러 경로를 통해 철저하고 공개적인 인사 검증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들어간 것은 맞지만, 박 당선인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개선’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첫 총리 후보자 낙마에 따른 여론 수습 차원에서 철저한 검증을 말로만 강조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박 당선인이 새누리당 일부 의원들과 만나 강조한 인사청문회 보완론도 신상 검증 비공개에 무게가 실려 있다.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은 박 당선인의 총리·장관 후보자 인선과 관련해 “여당뿐만 아니라 야당에서도 추천을 받는다면 인재풀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친이명박계인 조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시스템에 의한 검증은 기본이고 거기에 부족한 부분은 언론을 통한 검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평가 등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