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黨 핵심 용서 구해야”… 민주당 ‘혁신’ 워크숍서 한상진 대선평가위원장 요구

입력 2013-02-02 00:03

민주통합당 대선평가위원장인 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1일 “문재인 전 대통령 후보가 대선 과정의 과오를 고백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 위원장은 충남 보령 한화리조트에서 열린 ‘혁신과 도약을 위한 민주당 워크숍’에서 기조발제를 통해 “민주당이 ‘집단적 무책임’ 병에 걸렸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한 위원장은 “문 전 후보 하에서 선거 캠프가 꾸려지고 선거가 치러졌다”며 “하지만 민주당의 많은 분들이 캠프에서 소외돼 모멸감을 느꼈다는 얘기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를 문 전 후보가 알았든 몰랐든 간에 (선거에) 저해 요소가 생긴 데 대한 과오를 고백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이해찬 전 대표 등 친노(親盧·친노무현)계 핵심 인사들을 겨냥해 “당을 실제로 장악한 핵심 세력도 사과해야 한다”고 했다.

한 위원장은 아울러 “민주당이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에게 무슨 상처를 줬는지도 살펴서 반성해야 한다”고도 했다.

자유발언에서는 선거 패배 책임론을 놓고 친노 주류와 비주류 간 격론이 벌어졌다. 비주류 유성엽 의원은 “대선 패배를 논의하는 이 자리에 문 전 후보와 한명숙·이해찬·문성근 전 대표 등은 왜 안 나왔느냐”고 따졌다. 원외인 서울 노원병 이동섭 위원장은 “문 전 후보와 한 전 대표는 의원직을 사퇴하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친노계 김경협 의원은 “경선 이후에도 친노를 공격하는 등 내부가 분열된 게 패배 이유”라고 반박했다. 최민희 의원도 문 전 대표가 지난해 4·11총선 평가보고서를 덮었다는 의혹에 “덮은 게 아니라 더 보완하라고 지시했는데 그게 실종됐다”고 변호했다. 이에 한 위원장은 “(문 전 대표가) 과오를 인정하지 않고 그런 식으로 책임을 회피해선 안 된다”고 꼬집었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좌우 얘기나 여의도 정치에서 벗어나 국민 속으로 하방해야 한다. 의원들도 골프채를 꺾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이용득 비대위원은 “대선 때 노인 폄하성 언급을 한 정 고문부터 사과하라”고 말했다.

정해구(성공회대 교수) 정치혁신위원장은 당 혁신 분야 기조발제에서 “민주당의 권력 분담 형식의 집단지도체제가 계파 갈등을 야기해 왔다”며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뽑거나 당 대표만 선출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김성곤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은 전대 시기와 관련해 “임기 8~10개월의 대표를 뽑는 ‘임시 전대’를 치를 경우 4월에, 임기 2년 대표를 뽑는 ‘정기 전대’를 할 경우에는 5월 중순쯤 치를 수 있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비주류에서는 ‘친노 심판론’이 강하게 남아 있을 때인 3~4월에 임기 2년 대표를 뽑자는 입장이다. 김 위원장은 또 비주류가 반대하는 모바일 투표도 “폐해가 커지고 있지만 권리당원 정도라면 모바일 투표를 해도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폈다.

그러나 비주류 김한길 의원은 “전대를 미뤄선 안 되고 모바일 투표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영환 의원도 “전대를 5월로 미루면 안 된다”고 했다.

보령=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