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총리인선 선입견 버리고 검증시스템 가동해야

입력 2013-02-01 17:44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31일 오후 새누리당 지도부를 만났다. 예정에 없던 긴급 회동이다. 이 자리에서 박 당선인은 인사청문회 문제에 대한 걱정을 많이 했고, 당 지도부도 인선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용준 총리 내정자의 중도 낙마로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이 논란을 빚었던 만큼 이번에는 이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다시 예기치 못한 상황이 벌어진다면 박 당선인에게 큰 타격이 될 뿐 아니라 차기 정부 출범에 큰 부담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박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걸었던 책임총리제 정착을 위해 행정 경험이 풍부하고 국정 전반에 혜안을 갖춘 추진력 있는 인물을 뽑는다면 새 대통령에게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다. 여기에다 국민통합에 부응하는 인선이 이뤄진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하지만 도덕성 측면에서 흠결이 없는 총리 후보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먼저 고려할 대상이다.

인선 과정에서 철저한 검증시스템이 가동돼야 하는 것은 선택사항이 아니다. 박 당선인이 이미 염두에 둔 후보가 있다는 관측도 있지만 필요한 검증이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 당선인 비서실이나 외부에 검증팀을 두고 현 청와대의 검증시스템을 활용하고, 여당과의 의견교환이나 대통령 비서실장 인선을 마치고 그 의견을 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대통령 비서실장 인선의 경우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다. 비록 인사청문회 대상은 아니지만 박 당선인이 이미 발표한 청와대 비서실 운영 구상에 의하면 막강한 힘이 실릴 수밖에 없는 무거운 자리다. 새로운 청와대에서는 정책실장이 폐지돼 비서실장이 기본적인 대통령 보좌 업무 외에 정책 조율 기능까지 맡아야 하며, 대통령이 임명하는 고위 공무원 인선과 검증을 맡을 인사위원회도 이끌어야 한다. 특임장관이 폐지돼 정무 기능에도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새 대통령을 보좌하는 소극적 역할에 그치지 않고 정책과 정무에 능통하고 여의도 여야 정치권과 부드러운 소통이 가능한 중량급 인물이 고려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