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통합 난항
입력 2013-01-31 20:27
전북 ‘전주-완주 통합’ 주민투표를 앞두고 처음 열린 공청회가 반대 측 주민들의 거센 항의로 무산됐다.
20여년 간 진전을 보지 못한 전주-완주 통합이 난항을 겪을 것이란 우려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31일 완주군 등에 따르면 30일 완주군 문예회관에서 500여명이 참석한 통합 관련 공청회가 열렸지만 반대 측 주민들의 항의로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반대 측 주민들은 단상을 막고 “대부분 찬성 측 패널들로 구성된 행사는 의미가 없다”며 진행을 막았다.
이들은 “전북발전연구원 등 찬성 쪽 인사가 대다수 참여해 일방적인 여론을 형성하는 것을 묵인할 수 없다”며 “통합시 ‘효과’에 대한 용역만이 아니라 ‘손실’에 대한 용역도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찬성 측 주민들과 충돌, 한때 고성과 욕설이 오가는 등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임정엽 완주군수가 “완주군민은 서로 입장을 이해하자”고 호소했으나 허사였다.
공청회는 결국 1시간 20여분 뒤 전북도·전주시·완주군이 공동으로 희망제작소에 맡긴 ‘통합시 비전’에 관한 연구용역 결과만 발표한 채 끝났다.
완주군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2009년 통합에 반대했다가 지난해 4월 전주시와 전격 통합에 합의한 완주군은 그동안 여론이 상당히 무르익은 것으로 보고 관련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했었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첫 행사가 반쪽으로 치러져 아쉽다”며 “그러나 통합은 완주군 발전에 큰 보탬이 되기 때문에 끈질기게 주민을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전주-완주는 일제강점기인 1935년 강제 분할됐다가 1990년대 통합 논의가 진행됐다. 그러나 ‘흡수 통합’을 우려하는 완주군 측의 반대로 진전을 보지 못했었다.
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