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7·9급 공채때 10% 민간경력자 채용… 특정업무 장기담당 전문관 2000명 양성
입력 2013-01-30 22:18
서울시는 올해부터 7·9급 일반직 채용 인원의 10%를 민간경력자로 채운다. 2020년까지 시 전체 공무원 5명 중 1명은 특정 부서 장기근무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전문관으로 키운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재양성기본계획’을 30일 발표했다. 공무원의 전문성을 높여 행정서비스 질을 올리겠다는 취지다. 그동안 공무원의 보직 변경이 잦아 업무 효율과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
우선 기존 전문계약직에 한정됐던 전문가 채용 영역을 일반 공개채용으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올해는 전체 7·9급 일반직 채용 인원의 10%인 25명을 민간경력자들 중에서 충원키로 했다. 이를 통해 계약직이 가졌던 고용불안을 해소하고 동시에 역량 있는 인력을 유치할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민간경력자 지원자들은 필기시험과 면접을 치르게 된다. 필기는 1차 선택형, 2차 논문형으로 나뉜다. 면접은 개인 발표와 직무능력·공직 적합성 검증 등 심층적으로 이뤄진다.
시는 또 전문지식이 필요하고 업무이력 관리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직무 800개에 전문직위제를 도입한다. 여기에 기존 전문계약직과 연구직 등 1200명을 더해 2020년까지 전문관 2000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특정 부서 장기근무자에게 성과급 인상, 승진 우대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해 전문관 제도를 장려할 방침이다.
복지·경제·교통·도시계획 등 시정 핵심 10개 분야에는 보직관리제가 도입된다. 업무 연속성 확보를 위해 매년 2차례 실시되던 정기 전보인사는 1차례로 줄어든다.
전문성을 갖춘 직원이 승진 기회를 폭넓게 얻고 업무를 이어갈 수 있도록 행정·기술직 등 29개 직위에 실무사무관 제도도 운영한다. 이들은 공업·보건·의료기술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배치돼 5급 실무사무관 역할을 하게 된다.
박원순 시장은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우리 사회에서 공익 서비스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이제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 공무원의 전문능력을 배양하는 인사·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