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준 낙마 파장] 새누리 “朴 당선인 인사스타일 재점검해야”

입력 2013-01-30 19:33


새 정부 첫 국무총리 후보자가 낙마하자 새누리당 내에서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행 국회 인사청문회 제도를 바꿔 개인 신상과 관련된 부분은 비공개로 검증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3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인사청문회는 죄와 허물을 공개적으로 확인하는 자리이기보다 지명자들의 꿈과 능력의 크기를 검증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선 여러 하자나 문제가 사전에 비공개적으로 잘 걸러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몽준 전 대표는 보다 적극적인 당의 역할을 주문했다. 정 전 대표는 “(새누리당이) 집권 여당으로서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며 “도와줄 것은 적극 도와줘야 하지만 의견이 있을 때는 적절하게 의견을 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박 당선인과 당 대표의 정례적인 만남 같은 시스템을 둬 국민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박 당선인 측의 부실 검증을 지적했다. 그는 “(김용준 전 후보자의) 자녀 병역, 증여세 납부,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은 서류 검증만으로도 제대로 걸러질 수 있는 사안이었다. 박 당선인 측에서 사전 검증을 소홀히 하지 않았나 하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새 정부의 첫 번째 인사여서 당선인에게 전적으로 맡겨 보자는 식의 조심스러웠던 부분이 당내에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보완 필요성이 제기된 만큼 인사 과정에서 추천과 검증 기능을 확실하게 분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의화 의원은 “(차기 정부는) 첫 출발이 굉장히 중요한데 이러다가 제대로 내각이 구성돼 출발할 수 있겠느냐고 우려하는 국민이 많다”며 “인사청문회 제도를 손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사청문회의 도덕성 검증 부분과 정책능력 검증 부분을 두 개로 나눠 개인에게 관계되는 사안은 비공개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