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준 낙마 파장] “朴, 나홀로 집에서 결정 고집땐 국민 마음 떠나”
입력 2013-01-30 19:34
민주통합당은 김용준 전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대형 사고’로 규정하고 인사시스템 정비를 촉구했다. 국민의 마음이 박 당선인으로부터 떠나갈 수 있다고 경고를 하기도 했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박근혜 정부가 출범부터 삐걱거린다면 국민은 뭘 믿고 살아가느냐”면서 “깜깜인사, 밀봉인사는 더 이상 안 된다. 다음 총리 후보자는 국민 눈높이에 꼭 맞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를 통해 국정운영 경험을 해본 민주당으로선 이번 사태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박 당선인이 검증 자체를 요청하지 않는 바람에 청와대의 인사 검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박기춘(사진) 원내대표는 “통상 인사 검증을 할 때 재산 형성과 병역 문제 등 200가지 항목의 사전 질문서를 바탕으로 점검한다”며 “청와대나 여당이 이 질문서대로 검증했더라면 이번 일과 같은 불행한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박 당선인이 수첩에 적혀 있는 자기 사람만 쓸 게 아니라 인재풀을 넓힐 필요가 있다”며 “박 당선인은 나홀로 집에서 혼자 결정하는 시스템에서 벗어나 검증 인사로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설훈 최고위원은 “한번은 실수라고 하겠지만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에 이어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김 전 총리 후보자까지 세 번이나 연거푸 실수하면 국민들은 ‘박 당선인의 인사 실력이 이 정도밖에 안 되는구나’라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법조인 출신인 문병호 최고위원은 “요즘은 대법관과 헌법재판관 자리가 행정부 고위직으로 가는 발판이 돼 개탄스럽다”며 “3권 분립에 반하는 사법부 출신의 행정부 발탁은 자제돼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 우상호 의원은 CBS 라디오에 출연해 “4대 국가기관 가운데 2개 국가기관(국무총리 헌법재판소장)의 수장 선발에서 허점을 보인 것은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에) 상당한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박 당선인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55%에 그쳤다”고 공격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