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대북 접경지역 통관 검사 강화
입력 2013-01-30 19:42
중국 당국이 북한과 중국 접경지역 세관에서 통관 검사를 강화한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이러한 조치는 북한이 최근 3차 핵실험을 강행할 뜻을 밝힌 상황이어서 눈길을 끈다.
북·중 접경지역 소식통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해관(세관)은 랴오닝성 단둥(丹東), 다롄(大連) 등 주요 대북 무역 창구에서 최근 통관 검사를 대폭 강화했다. 이에 따라 화물에 대한 실제 검사 비율이 높아져 통관에 걸리는 시간이 전보다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중국 화물선 운영 회사들이 북한을 오가는 것을 기피하는 등 대북한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북·중 무역에 차질이 생기면 중국에서 대부분 외부 물품을 조달하는 북한으로서는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중국은 2003년 2차 핵 위기 당시 단둥에서 신의주를 잇는 원유 공급 송유관을 고장을 핑계로 잠갔고, 2006년 1차 핵실험 때도 송유관을 통한 원유 공급량을 대폭 줄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통관 강화는 이에 비하면 낮은 수위의 제재 조치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통관 강화가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추가적인 불이익을 줄 수 있다는 경고로 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북한에 특사를 보내는 방안과 관련해서는 실효성이나 북한의 대응 등을 생각할 때 실행될지 미지수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과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 강행에 우려의 목소리를 높여가는 가운데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최근 인력을 비롯한 차량 등 장비 활동이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30일 “풍계리 핵실험장 갱도 입구에서 인력과 차량 등 장비 활동이 최근 증가했다”며 “언제든 핵실험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활동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북한군 일부 부대는 장비를 점검하고 비상대기태세 발령 훈련과 지휘관 정위치 등의 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노동당 제4차 세포비서대회에서 당내의 세도가와 관료주의자 척결을 강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