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 코드→MB 고소영→朴 밀봉… 계속 이어진 ‘인사亡事’
입력 2013-01-30 18:12
‘인사(人事)가 만사(萬事)다’ 정권 출범 초기마다 지겹게 반복되는 격언이다. 하지만 역대 정권들은 매번 인사가 꼬이면서 휘청거렸다. 이명박 노무현 정부에서도 인사 실패가 정권의 발목을 잡았다. 박근혜 인수위원회도 출범부터 비슷한 조짐을 보였고 결국 헌정사상 첫 총리 후보자 낙마라는 참사로 이어졌다.
◇노무현 ‘코드’, 이명박 ‘고·소·영’=노무현 정부는 10년 전 인수위원회 시절부터 ‘코드인사’라는 낙인이 붙으면서 정권 내내 비판이 이어졌다. 참여정부는 전문성·경력보다는 이념 성향이 비슷한 학자·시민단체·운동권 인사를 중용했다는 지적이 많았다. 청와대는 ‘386 운동권 출신’들이 대거 자리를 잡았다. 그럼에도 정찬용 청와대 인사수석은 이런 비판에 대해 “220V에 110V 코드를 꽂으면 타버린다. 그런 점에서 코드는 맞아야 한다”며 ‘코드인사’ 기조를 이어갔다.
이명박 정부도 인수위부터 ‘고소영’ ‘강부자’라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 인수위와 내각, 청와대에 고려대·소망교회·영남 인맥과 서울 강남 부동산 부자들이 즐비했기 때문이다. 결국 첫 조각에서 대거 낙마사태가 벌어졌다. 남주홍 통일부, 박은경 환경부, 이춘호 여성부 장관 후보자가 줄줄이 불명예 퇴진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김성호 국가정보원장, 김경한 법무부 장관, 임채진 검찰총장, 어청수 경찰청장 등 사정 라인을 전부 영남 출신으로 채우기도 했다.
특정 인사가 요직을 돌고 도는 ‘회전문 인사’는 정권마다 거듭됐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김병준 국민대 교수가 인수위에서 출발해 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 청와대 정책실장,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까지 차지했다. 이명박 정부의 경우 백용호 대통령정책특보는 공정거래위원장과 국세청장, 정책실장을 거쳤다.
◇박근혜 밀봉·불통·깜깜이 인사=전 정부의 인사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박근혜 인수위도 출발부터 삐걱거렸다. 친박계 측근들을 배제하는 긍정적인 면모도 보였지만 지나친 밀봉·보안 인사로 인사 검증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논공행상과 호가호위를 막자는 좋은 취지도 빛이 바랬다.
첫 인사인 인수위 인사에서 윤창중 대변인을 임명하면서부터 논란이 됐다. 윤 대변인이 과거 칼럼에서 극단적인 우편향 성향을 드러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100%대한민국’ ‘대탕평’을 내세운 박 당선인의 공약에도 흠이 가기 시작했다. 인수위 청년위원에도 과거 문제가 있던 인사들이 포함됐다.
언론과 야당에서는 소통과 개방을 촉구했지만 박 당선인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첫 총리 후보자로 김용준 인수위원장을 깜짝 지명했지만 5일 만에 사퇴했다. 가장 기본적인 검증 항목인 재산과 병역 문제에 걸려 넘어졌다. 특히 박 당선인 측은 검증 과정에서 청와대에 인사자료조차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여당 내부에서도 ‘밀봉 인사’에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