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형 수능 “강행” “유보” 팽팽… 국회 ‘긴급점검토론회’

입력 2013-01-29 18:26

“어떤 수능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학생들 순서가 바뀌는 비교육적 제도다.”(김윤배 성균관대 입학처장)

“1% 특권층을 위한 정책이다.”(장은숙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전 회장)

“준비 부족을 걱정하는데 그동안 충분히 의견 수렴했다. 유보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송선진 교육과학기술부 대입제도과장)

올해부터 실시되는 선택형(A/B) 수능 논란은 국회 토론회장에서도 여전했다.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민주통합당 김상희 의원 주최로 열린 ‘2014학년도 선택형 수능 혼란 수습방안 마련을 위한 긴급점검 토론회’에서도 강행과 유보 입장은 팽팽했다.

올 초 선택형 수능 유보 논란을 촉발한 9개 서울 주요 사립대 입학처장 중 한 사람인 성균관대 김 처장은 “예를 들어 최하위권 학생들의 경우 쉬운 A형을 치는 것이 아니라 가산점을 노리고 B형을 선택한다. 준비해서 A형을 친 학생들보다 그냥 B형을 친 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A형 B형 학교로 고교 서열화도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교과부 대표로 나온 송 과장은 “처음 도입되는 제도이다보니 혼란은 있을 수밖에 없다.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대비했다. 학부모·학생들의 불안감이 있을 수 있지만 지금 와서 유보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대쪽 의견은 (수도권 대학과) 좀 다르다. 기존에 한 줄로 대학이 서열화되는 상화에서 희망이 없다고 봤으나 이번 수능 개편으로 지방대끼리 경쟁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돼 고무적으로 받아들이는 곳도 있다”고 맞받았다.

학부모 대표로 나온 장은숙 전 회장은 “학생, 학부모는 혼란스럽다. 변화된 교육정책에 발빠르게 대응해온 1%의 특권층을 위한 정책”이라고 유보 의견에 동조했다.

이현 전교조 정책실장은 선택형 수능이 현 고교 교육과정과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선택 수능에 맞는 교육과정을 위해서는 7개의 계열이 필요한데 현재 대부분 고교는 문과와 이과 두 가지뿐이라는 것이다. 공교육 내에서 수능 준비가 불가능하다는 취지다. 이 실장은 “대학별로 가산점이 천차만별이라 유불리 판단이 불가능하고 난이도도 매년 바뀌며 A·B형에 응시하는 모집단이 바뀌기 때문에 대입이 도박판이 돼 버린다”고 주장했다.

황영남 교총 교육정책연구소장은 “지금이라도 시정하자는 취지는 이해되지만 시행 11개월을 앞둔 시점에서 시기상 늦어 교각살우의 우를 범할 수 있다”며 유보 반대 의견을 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