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산하기관 청년의무고용제 단계적 추진

입력 2013-01-28 22:33

서울시가 산하기관 인력을 신규 채용할 때 출신대학 등을 기재하지 않는 ‘표준이력서’를 사용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 청년의무고용제를 산하기관에서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등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서울시는 28일 오후 서울시청 신청사에서 국내 첫 세대별 노동조합인 서울청년유니온과 이런 내용이 포함된 ‘청년 일자리 정책 협약’을 체결했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한지혜 청년유니온 위원장이 체결한 협약은 청년 일자리 정책에 대한 이행과 협력을 약속하는 15개 조항으로 이뤄졌다.

협약에 따라 시는 우선 ‘청년 일자리 기본 조례’를 제정키로 했다. 이 조례에는 청년 일자리 창출, 일자리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이 담길 예정이다. 또 산하기관 신규 채용 때 표준이력서를 사용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출신대학이나 신체조건 등 직무와 관련 없는 항목이 제외된 표준이력서는 노동계에서 줄곧 도입을 요구해 왔었다.

시는 매년 정원의 일정비율 이상의 청년을 고용토록 하는 청년의무고용제를 산하기관에서 단계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2010년 제정된 청년고용촉진특별법에는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은 매년 정원의 3%를 청년 미취업자 고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하지만 권고사항에 불과해 실효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지난해 말 현재 시 산하 공공기관의 청년 고용률은 1.2%에 불과하다.

협약서에는 이 밖에 청년 일자리 권리선언 공동 발표, 사업주 대상 노동존중 교육 실시, 청년 구직자를 위한 취업코칭 프로그램 마련, 산하기관 채용 때 신체검사비용 지원, 민간 청년고용지표 공공구매에 활용 등이 담겼다.

박 시장은 협약식에 참석해 협약에 명시된 청년 일자리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앞으로도 청년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엄연숙 시 일자리정책과장은 “이번 협약은 서울시가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를 관심과 의지를 갖고 적극 해결해 가겠다는 선언이라 할 수 있다”며 “청년고용에 장애가 되는 요소는 제거하고 촉진할 수 있는 방안들은 시 차원에서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