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사이버안보군’ 5배 증원
입력 2013-01-28 22:28
미국 국방부가 계속 고조되는 사이버전쟁 위협에 대비해 ‘사이버안보군(cybersecurity force)’을 현재의 5배로 대폭 증강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국방부는 적 또는 적국의 사이버테러 방어 목적 외에 적국의 지휘통제시스템을 무력화하는 새로운 공격부대까지 창설할 방침이다. 미 정부는 목표를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중국과 이란이 주된 대상이 될 것이라고 워싱턴포스트(WP)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국방부 사이버전투능력증강계획에 따르면 사이버사령부의 전담병력은 현재 900명에서 향후 수년 내 4900명으로 확대된다. 실제 작전에 투입되는 4900명 외에 민간 전문가까지 포함하면 수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 고위관리는 “지난해 몇 차례 보고된 사이버공격이 미국에 위협이 된다는 판단 아래 사이버사령부 증강계획이 추진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3월 미 군수업체가 보관 중이던 국방 관련 파일 2만4000건이 해킹으로 도난당했고, 8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컴퓨터 3만대가 사이버공격으로 훼손됐다. 리언 패네타 국방장관은 얼마 전 “미국이 ‘사이버 진주만’ 위협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했다.
대폭 증강되는 사이버안보군은 사이버사령부 지휘 아래 ‘국가작전팀(NMF)’ ‘전투작전팀(CMF)’ ‘사이버보호팀(CPF)’ 등 3개 부대(팀)로 운용될 예정이다. 국가작전팀은 국가전력망, 파워플랜트 등 미국 내 보안·경제관련 컴퓨터시스템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는다. 해외의 국가기간망 보호도 포함된다. 국방부 관리는 그러나 “산업체, 개인 네트워크를 침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투작전팀은 실제 사이버전투를 수행한다. 잠재적 위협국 별로 설치돼 실제 전쟁 발생 전 적군의 컴퓨터 지휘통제시스템을 무력화시키는 게 주 임무다. 하지만 실제 큰 피해가 발생할 위협이 있을 때만 제한적으로 운용된다. 사이버보호팀은 국가안보기관의 네트워크 보안임무를 맡는다.
사이버사령부 사령관은 키스 알렉산더 국가안보국(NSA) 국장이 겸임하고 있다. 신문은 이 때문에 사이버사령부가 NSA 그늘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전략을 세울 수 있을지 의문부호가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