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준 총리 후보 검증] 가족이 산 ‘땅·땅·땅’… 개발 열풍과 함께 ‘천정부지’
입력 2013-01-28 22:22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는 1970∼80년대 사들였던 집과 토지로 상당한 시세차익을 얻는 등 부동산 거래가 재산 형성의 핵심이었다. 특히 경기도 수원시 금곡동과 서울 서초동 땅으로만 90억원 이상 재산을 늘린 것으로 추정된다. 2000년 헌법재판소장 퇴임 이후 일부는 팔았고 나머지는 현재도 보유 중이다.
◇사는 곳마다 개발열풍?=김 후보자와 관련된 부동산 거래의 특징은 가족들이 얽혀 있다는 점이다. 부인 서채원씨 명의의 서울 마천동 땅의 경우 장모와 공동으로 구입했다. 이 땅은 2004년에 서울시 소유로 이전, 도로로 편입되면서 ㎡당 29만5000원의 보상을 받았다. 해당 땅의 당시 공시지가(㎡당 약 13만원)보다 높은 보상가였다. 송파구청 관계자는 28일 “비닐하우스나 묘목 등이 심어져 있으면 보상액이 많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김 후보자 가족이 농사를 지었을 가능성은 적다. 서씨 역시 “남편이 알아서 했다”고 해명해 투기 의혹이 더 짙어졌다. 서울 쌍문동 땅 4필지도 김 후보자 형제가 같이 사들여 2002년에 한꺼번에 팔았다. 88년 구입할 땐 지목이 임야였지만 지금은 5층짜리 건물이 들어서 있다. 지목이 바뀌어 개발됐다는 얘기다.
88년에 구입한 서울 서빙고동 신동아아파트(55평형)는 2006년 장남에게, 인천 월미도 인근 북성동 1가의 잡종지는 78년에 매입해 2007년 딸에게 증여했다. 민주통합당 관계자는 “잡종지는 주택 등 건물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개발 가능성이 임야, 전답보다 높다”고 말했다. 논란이 되는 장·차남 소유의 서울 서초동 땅은 75년 김 후보자의 어머니 박모씨가 400만원에 사줬고 현재 50억원을 호가한다.
여기에다 75년 김 후보자 혼자 매입한 수원시 금곡동 임야는 2006년 한국토지주택공사의 호매실 보금자리주택 건립 계획으로 적지 않은 보상액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해당 개발지구(311만㎡)는 총 7425억원의 보상금이 지급되면서 참여정부 5년간 토지 보상금 지급액 상위 20위 안에 포함됐다. 이처럼 김 후보자 가족이 매입한 부동산은 개발 열풍과 함께 대부분 가격이 크게 뛰었다.
다만 부하 직원과 둘러본 뒤 첫째아들 명의로 샀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경기도 안성시 배태리 땅의 경우 가격이 많이 오르지 않았다. 74년 평당 1000∼3000원 했는데 지금은 2만∼3만원 수준이라고 한다. 인근에 96년 송전철탑이 들어서면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공직자 시절에는 부동산 거래 ‘잠잠’=김 후보자가 헌재소장으로 재직했을 당시인 1994∼2000년 재산신고사항 공개 목록에는 부동산 관련 변동액은 거의 없다. 김 후보자가 94년 9월 국회 임명동의 절차 과정에서 공개한 총 재산은 29억9234만원이다. 그해 11월 헌재에서 발행한 공보(公報)의 재산 변동 사항은 구입한 91년식 중고차량(200만원)뿐이었다. 95년 2월 정기적인 공직자 재산신고 때에는 “변동사항이 없다”고 명시했다. 이후 재산은 2000년 1억4000여만원(자택 보수) 감소하는 것을 제외하면 예금 등으로 매년 700만∼9200만원 증가하는 등 눈여겨볼 만한 변동이 없다.
하지만 퇴직한 2년 뒤인 2002년부터 서울 쌍문동 임야와 대지 등을 파는 등 거래를 시작했다. 공직 신분일 때에는 재산 변동과 관련된 활동을 자제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