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대 도서 주민대출 논란… “국가 시설로 회비 필요없어”-“회비 올려 이용자 줄여야”
입력 2013-01-25 19:18
국·공립대학들이 지역 주민에게 회비를 받고 도서 대출을 해주는 게 좋은 걸까 나쁜 걸까. 대학이 주민들에게 도서관을 개방하는 건 무조건 좋은 일처럼 보이지만 이를 둘러싼 사소한 갈등도 없지 않다. 주민들은 ‘국·공립대가 돈을 받아야 되느냐’며 불만이고, 학생들은 ‘주민들이 학습 분위기를 해친다’고 불평하고 있다.
서울대는 관악구민을 대상으로 1년에 10만원을 내면 1회 최대 5권을 빌릴 수 있는 회원제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학교발전기금’ 명목으로 걷는 이 돈은 도서관 이용을 해지하더라도 반환되지 않는다. 그동안 잠잠했으나 서울대가 지난 2일부터 이용료를 5만원으로 낮추면서 ‘그것도 비싸다’ ‘이용료를 내려선 안 된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부산대 역시 도서 대출은 회원제 가입을 통해서 이뤄지는데, 1년에 10만원을 내면 거주지역과 관계없이 1회에 최대 10권을 빌릴 수 있다. 반면 지난 18일 국립대로 전환된 인천대는 도서 대출 이용료 5만원을 받는다. 그러나 예치금 형태여서 이용자가 더 이상 도서 대출을 원치 않으면 돈을 돌려주고 있다.
이용료를 반대하는 쪽은 세금을 내는데 국·공립대 도서관을 이용하면서 또 돈을 내야 하느냐는 불만이다. 한 네티즌은 23일 “국고나 시비 등의 지원금으로 운영되는 대학이 도서관 서비스조차 지역사회에 돈을 받고 제공한다니 괘씸하다”는 글을 올렸다. 대학 도서관 관계자는 “사립대의 경우 도서 대출뿐 아니라 출입마저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며 “가격이 비싼 책들이 많은데, 대출 시 반납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외부인에게 무료로 책을 대출해주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이용료 제도를 고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울대 커뮤니티에는 “관악구 주민들이 5만원으로 낮춰진 이용료 탓에 쉽게 들어오면서 학습 분위기가 망가졌다”며 “이용료를 다시 높여야 한다”는 불만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부산대 학생이라고 밝힌 한 네티즌 역시 “등록금에 도서관 이용료도 포함돼 있는데, 외부인 때문에 학습 분위기가 방해받는다는 것이 억울하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