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강제수용소 수감자 인권은 미국 외교정책의 주요 현안”
입력 2013-01-25 02:03
북한이 최근 평안남도 개천에 정치범수용소를 신설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지명자가 24일(현지시간) 수감자 인권문제를 주요 현안으로 꼽아 주목된다.
케리 지명자는 이날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열린 인준 청문회에 앞서 제출한 서면답변서에서 “미국의 외교정책은 기후변화와 같은 이슈에 대한 리더십, 아프리카에서 미주에 이르기까지 자유와 민주주의를 주장하는 수많은 이들을 위한 투쟁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북한의 강제수용소(gulags) 수감자들과 수많은 피란민과 추방자, 인신매매 희생자들을 대변하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케리 지명자는 또 “무엇보다 외교정책은 경제정책”이라면서 “세계는 자원과 시장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고 지적한 뒤 “당파를 초월해 경제 애국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10여년간의 전쟁을 마감하면서 내놓은 비전을 이행하는 것도 의무”라면서 “오바마 대통령이나 우리 모두는 미국의 외교정책이 무인기(드론)나 군사배치로 정의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케리 지명자는 이어 이란 핵개발 의혹에 대해 “비확산을 위해 이란 핵 프로그램을 둘러싼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우리의 정책은 봉쇄가 아니다”면서 “오바마 대통령은 수차례 외교적 해결책을 선호한다고 밝혔고 나도 민주적인 노력을 시도하겠지만 핵 위협을 해소하려는 우리의 이런 노력을 잘못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구성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