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CNG 자동차 충전소 이용 제한 말썽
입력 2013-01-24 19:54
광주시가 올 들어 압축천연가스(CNG) 장착 자동차의 충전소 이용시간을 제한해 이용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광주시 대중교통과는 24일 “CNG로 개조한 승용차 등이 시내버스 차고지를 겸한 충전소 4곳에서 오후 6시까지만 충전을 할 수 있도록 최근 관련규정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무공해 청정연료인 CNG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등을 위한 충전소는 광주 외곽에 주로 설치돼 있다. 광산·상무·매월·월출·장등·월남충전소 등 6곳으로 그동안 900여대의 시내버스는 물론 승용차, 트럭 등 차종에 상관없이 CNG 충전을 허용해 왔다.
시는 이 가운데 ㈜해양도시가스가 설비자금을 자체 투자한 상무충전소 등 2곳에서 시내버스 운전사들이 충전을 기피해 나머지 4곳을 오후 6시 이후 시내버스 전용 충전소로 전환했다. 시는 “준공영 체제인 시내버스의 원활한 충전과 ㈜해양도시가스의 낮은 수익률 개선을 위해 변경조치를 내렸다”고 이유를 밝혔다.
하지만 CNG 승용차 운전자 등은 “충전소 4곳이 갑자기 시간제한을 두는 바람에 매번 멀리 떨어진 곳까지 가게 돼 몹시 불편하다”면서 “시민을 볼모로 사기업의 이익을 높여주려는 시청의 조치가 납득하기 어렵다”고 불만스러워하고 있다. 이들은 “승용차를 CNG로 개조하려면 최소한 500만원 이상을 들여야 한다”며 “다른 지자체의 경우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환경오염이 거의 없는 CNG 사용을 오히려 권장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대구시의 경우 영업용택시가 액화석유가스(LPG)에서 CNG로 바꿀 경우 25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대구에서는 지난해 택시 790여대에 CNG가 장착된데 이어 내년까지 택시 3300여대가 CNG로 개조될 예정이다. 강원 동해시도 승용차 1대당 100만원을 시 예산에서 지원하고 있고, 경남 창원시는 2007년부터 관공서와 기업 등에 CNG 겸용차량 구입을 권유하는 실정이다.
CNG는 LPG보다 가격이 저렴한 친환경적 연료로 시내버스와 청소차·화물차 2만9000여대를 포함해 전국적으로 현재 3만5000대의 자동차가 이를 사용 중이다.
한국천연가스차량협회는 “메탄이 주성분인 CNG는 자연발화 온도가 높아 화재·폭발 위험이 LPG보다 적고 대기오염 방지에 큰 도움이 된다”며 “지난 15일 서울 외발산동 차고지에서도 시내버스 30여대가 불길에 휩싸였지만 1대당 10개씩 장착된 300여개의 CNG 용기는 모두 안전했다”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