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강훈 미술협회 새 이사장 “미술대전 심사 체계 확 바꿔놓을 것… 대통령상도 부활”
입력 2013-01-22 20:01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 비리는 잊을 만하면 터져 나오는 미술계의 고질병 가운데 하나다. 운영 주체인 한국미술협회는 이사장이 바뀔 때마다 공정성과 투명성을 내세웠지만 학연(學緣)과 지연(地緣) 등으로 연결된 비리의 고리를 끊지 못한 게 사실이다.
지난 5일 미술협회 총회에서 제23대 이사장으로 당선된 조강훈(52·서양화가·사진)씨도 미술대전의 실추된 권위를 회복하는 방안으로 심사 및 시상 제도의 혁신을 제시했다.
22일 서울 인사동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진 조 이사장은 “미술인들의 자존심이 다시는 짓밟히지 않도록 미술대전의 심사 체계를 확 바꿔놓을 생각”이라며 “심사위원에 원로 작가는 물론 화랑 대표, 미술평론가, 학예사 등을 참여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폐지됐던 대통령상도 부활시켜 실추된 권위를 회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조 이사장은 “미술인의 처우 개선에 힘써야 할 협회가 편 가르기에 앞장선 측면도 있었다”며 “미협을 비영리 조직과 영리 기업의 중간 형태인 ‘사회적 기업’으로 바꿔 회원들의 친목 활동을 지향하고 수익도 추구하는 구조로 바꿔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꿈과 희망이 있는 복지 미협’을 강조한 그는 전시를 열고 싶어도 비용을 마련하지 못해 고심하는 작가들을 위해 인사동에 회원전용 미술관을 건립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소개했다. 또 침체된 미술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방안으로 미술인과 기업인, 화랑이 연계된 국제적 규모의 ‘미술장터(아트페어)’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조선대 회화과를 거쳐 볼리비아 소피아국립예술대를 졸업한 조 이사장은 1982년 한국현대미술 대상을 받은 중견 작가다. 취임식은 다음 달 20일 열리며 임기는 4년이다.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는 서울과 전국 15개 시·도 지회에 3만8000여명이 회원으로 등록돼 있는 단체다.
이광형 선임기자 g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