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교통약자 이동편의 광역단체 중 ‘꼴찌’

입력 2013-01-21 21:27

인권도시를 추구하는 광주시가 광역단체 가운데 장애인 등 교통약자들을 가장 홀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 민원인 고충처리는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조사돼 대조를 보였다.

21일 광주시에 따르면 국토해양부가 최근 발표한 ‘2012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 광주의 교통복지 수준은 전국 6대 광역시 가운데 최하위였다. 장애인, 노약자 등을 위한 저상버스와 콜택시 방식의 교통약자 전용택시 보급률이 꼴찌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광주지역에서 운행 중인 저상버스는 70여대로 전체 시내버스 930여대의 10%도 되지 않는다. 정부가 지난해 확정·고시한 의무비율 41.3%에 훨씬 못 미친다.

중증장애인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약자 등을 위한 교통약자 전용택시 역시 50여대에 불과해 2만명으로 추산되는 광주권 대상자들의 수요에 턱없이 부족하다.

광주시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여객시설과 교통수단의 접근성, 보행환경, 교통행정, 고령자 및 어린이 사고율 등 7개 부문에서 대부분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이에 반해 일반 민원인을 대상으로 한 광주시의 고충민원처리 만족도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처음 실시한 고충민원처리 만족도 설문조사에서 종합만족도 61.27점을 받아 전국 16개 시·도(평균 39.24점) 중 1위를 차지했다.

시는 담당직원의 전문성, 친절성, 민원 처리과정 안내, 처리결과의 공정성, 충분한 근거제시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강운태 광주시장이 민선 5기 이후 시민과 직접 만나 고충 해결에 앞장서온 ‘시민과의 대화’ ‘광주공동체 원탁회의’도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국민권익위가 한국서비스진흥협회에 의뢰해 2011년 11월부터 10개월간 각 광역단체 등에 고충민원을 제기한 민원인 1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먼저 배려하지 않는 인권도시는 빈껍데기나 다름없다”며 “교통약자들을 위한 교통정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