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아베노믹스’ 공습 본격화… 한국, 최대 피해국 될 듯
입력 2013-01-21 19:07
일본은행이 물가상승률 목표를 연 1%에서 2%로 상향조정하기 위한 논의에 착수한 가운데, 엔화 약세로 한국이 가장 큰 피해국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일본은행은 21일부터 이틀간 금융정책결정회의를 개최하고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한다.
이에 앞서 시라카와 마사아키 일은 총재는 지난주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장관, 아마리 아키라 경제재생장관과 만나 물가목표를 2%로 올리되 목표 시점은 명시하지 않는 방안으로 의견 접근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수출과 투자를 늘리기 위해 엔화의 가치를 떨어뜨리겠다는 의미다.
아베 신조 총리는 지난달 선거 때부터 일본은행이 정부의 국채를 무제한 매입하는 등의 대대적인 통화팽창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일본은행은 또 정부 재정 적자의 94%까지를 일본은행이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대폭적인 양적 팽창 정책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크레디트스위스 싱가포르의 이코노미스트 산티탄 사티라이타는 밝혔다.
산티탄은 “일본의 엔화 평가절하 공세로 일본과 비슷한 분야에서 수출에 주력해온 국가가 피해를 당할 것”이라며 “가장 취약한 곳은 한국”이라고 예측했다. 일본의 다이와 투자은행도 한국의 전자·조선·자동차 산업의 피해가 가장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인도네시아와 태국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은 혜택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 기업들이 엔화 약세에 대비해 해외 투자를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도요타자동차는 인도네시아의 자동차 생산 시설을 2배로 확대하기로 했고, 닛산자동차도 태국에 제2공장을 신설하기 위해 3억7000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동중국해에서 일본이 중국과 영토 분쟁을 겪고 있는 점도 일본 기업의 동남아 투자에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했다.
아베노믹스의 부작용 우려 목소리에 아베 총리의 멘토까지 가세했다. 아베 총리의 통화정책에 자문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하마다 고이치 예일대 명예교수는 20일 기자들과 만나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고 엔화 가치 하락이 가파르게 이뤄지면 양적 팽창 속도를 늦춰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