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노골적인 횡포 드러낸 이마트

입력 2013-01-21 18:38

유통업계의 절대 강자 신세계그룹의 이마트가 노동조합 설립 차단을 위해 직원들을 불법 사찰한 것은 물론 유력 인사의 자제에게 취업 특혜를 줬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서울시의 명예 노동 옴부즈맨 제도와 관련해 담당자의 출입을 차단하라는 지침도 내렸다. 법을 어겼을 뿐만 아니라 행정관서의 정상적인 활동도 방해하는 재벌의 나쁜 행태를 보인 것이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노동집약적 산업을 고수해 온 신세계그룹이 근로 문제로 노동부의 지적을 받은 것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최근 폭로된 문건을 보면 도가 지나치다.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노조를 결성하는 것은 헌법적 권리인데도 이를 억압하기 위해 불법과 탈법을 자행하는 것은 선두권 기업의 모습이 아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운영한 ‘시민 명예 노동 옴부즈맨’ 점검에 응하지 말라는 방침을 각 지점에 내린 것도 치졸하다. 이 제도는 노동계가 추천한 인사를 옴부즈맨에 임명해 근로기준법 위반, 비정규직 차별 여부를 감독하는 제도다. 그런데도 무슨 이유에서인지 옴부즈맨의 사업장 방문을 막으라는 지침을 내린 것이다.

심지어 사업장 출입을 강행할 경우 주거침입 등 민형사상 법적 조치가 가능하다며 옴부즈맨 방문 시 방문자 성명, 일시 등을 파악해 즉시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회사를 위해 밤낮으로 고생하는 직원들을 조금이라도 생각하다면 이럴 수는 없는 일이다. 업계 1위로 도약한 것이 누구의 피와 땀으로 이뤄진 것인지 회사 측은 한번이라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종업원의 헌신은 생각지 않고 노동부 공무원에게 보낼 명절 선물 리스트를 챙기는 이마트의 모습은 강한 자에게는 약하고 약한 자에게는 한없이 강한 여유토강(茹柔吐剛)적인 회사라고 해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종업원을 아끼는 회사가 일류 회사라는 것은 두말 할 나위도 없다. 안 그래도 대기업의 독주가 도마 위에 올라 있는 현 상황에서 이마트는 자중자애했으면 싶다. 일류 기업으로 계속 살아남으려면 위로는 당당하고 아래로는 너그러운 상당하관(上堂下寬)의 자세를 가지란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