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 대란’ 한숨은 돌렸지만…
입력 2013-01-21 01:27
서울시내 일부 자치구와 민간위탁업체 간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 인상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면서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쓰레기 수거를 정상화하면서 가격협상을 계속하기로 해 일단 ‘쓰레기 대란’은 피했지만 처리 비용 산정 기준 마련 등을 통해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19일 서울시와 자치구 등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처리 위탁업체들이 속속 계약이 만료되면서 해당 자치구에 처리비용 대폭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용산·강북·강서·구로·서초구 등이 지난 연말로 민간업체와의 계약이 만료됐지만 인상폭을 놓고 이견이 커 아직 재계약을 체결하지 못한 상태다. 이들은 1~2개월 임시계약을 맺은 후 정식 계약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계약 기간이 남아있는 다른 자치구에서도 신경전이 팽팽하다.
업체들은 올해부터 음식물쓰레기 폐수(음폐수)의 해양투기가 금지돼 처리비용이 상승한 만큼 현재 t당 8만원 안팎인 처리비용을 12만4000∼13만4000원으로 올려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자치구들은 지나친 요구라며 응하지 않고 있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처리방식 변경으로 비용이 오른 건 인정하지만 업체들이 요구하는 인상폭은 너무 지나치고 근거도 부족하다”고 말했다.
시는 이에 따라 자치구, 민간업체, 전문가, 관련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적정원가산정위원회(가칭)를 구성해 표준 처리원가 산정을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서영관 시 자원순환과장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계약은 자치구와 민간업체 간에 이뤄지기 때문에 시는 표준단가 산정 등을 통해 합리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시는 또 올해부터 시행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조기 종착시켜 쓰레기 배출량 자체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공공처리시설도 확대할 방침이다. 이달부터 중랑물재생센터 처리시설에서 음폐수 처리를 시작했고 5월부터는 인천시 백석동 수도권매립지에서도 처리할 예정이다. 서남·난지·탄천물재생센터로 처리시설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서울에서 발생하는 음폐수는 하루 1800t으로, 이중 969t(54%)은 공공시설에서 처리하고 나머지는 민간업체에 맡기고 있다.
라동철 선임기자